소설 징비록
박경남 지음 / 북향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왕의 눈물을 읽고서 박경남님의 역사 소설에 주의깊게 읽어보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고종과 흥선대원군 사이의 마치 옆에 있는 것 처럼 관팔하고 쓴 것 같은 느낌의 소설이었던지라 너무나 생생하게 역사를 체험하고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켰답니다. 역시나 <징비록>이라는 제목의 도서 제목의 박경남님 작품이라는 것을 보자마자 어떻게 또 사실인 것 처럼 생생하게 임진왜란 당시의 류성룡님이 보고 느꼈던 그 당시를 어떻게 그려내고 있을지 너무나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역사 소설을 읽을 때마다 역사에 기반한 소설들을 읽는다는 것은 어디까지가 역사적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각색한 내용인지 구분하기 어렵지만 그때마다 이러한 소설들은 언제까지나 가상의 소설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이 직접 쓴 임진록으로 임진왜란당시에 생생히 관찰할 수 있었는데 서애 유성룡의 모습과 선비로써 바라본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살펴 볼 수 있어 임진왜란의 새로운 측면에 대해 알게되는 좋은 기회를 갖게되었습니다. 읽으면서 가장 많이 느낀 점은 조선의 정치인이나 현재의 정치인들이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자기 밥그릇 싸움에 기를 올리고 싸운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그것을 구하는 것은 이름없는 수많은 백성들이라는 것입니다. 왕과 문관들이 전란의 위기에 처했음에도 당파싸움이나 하면서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다가 결국에는 도성을 버리고 피난가서 자기들 살 길만 찾으려는 동안 왜군과 맞서 싸운 것은 수많은 백성들과 의병들이었습니다.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가 무능하다면 백성들이 얼마나 고통받게 되는지도 다시 한번 실감했습니다.

 

홀로 싸우는 이순신 장군의 모습을 애처롭게 쓸쓸히 지켜보고 서애는 자신의 위치에 대해 힘이 되어 줄 수없는 친구로써 미안해하면서 이순신만을 바라보는 모습에서 그 당시의 조선이 얼마나 썩었는지 잘 알수 있게 자신의 모습을 잘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서애 유성룡이 이 책을 남기며 그 이름을 '징비록' 즉,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이름으로 남긴 것 역시 우리에게 교훈을 남겨주려 한 측면이 크다고 봅니다. 과연 우리는 이러한 교훈을 잊어버리고 살아가는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위해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어서 더욱 의미를 더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하니 마음이 뭉클해지고 따뜻하게 느껴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