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말해줘
존 그린 지음, 박산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존 그린은 제게 읽을 때마다 어떻게 이리도 재치 있으면서 귀엽게 글을 쓰지, 하는 부러움을 자아내는 작가입니다. 존 그린의 소설은 무엇보다 십대를 다루면서도 여느 소설에 배어 있는 훈계하는 투가 전혀 없어서 좋습니다. 십대들의 말투와 행동이 과감 없이 문체에서 그대로 드러나서 그의 소설을 읽으면 "십대들을 이런 눈으로 바라봐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곤했습니다. 열 아홉이라는 나이에 열아홉 번째 캐서린이라니, 그렇다면 도대체 몇 명의 여자와 사귄 거야, 라는 짓꿎은 생각이 먼저 들게 되었답니다. 방금 경쾌하고 발랄한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북트레일러를 보고 왔는데 더 읽고 싶어지게 만드는 존 그린의 소설입니다. 원제가 An Abundance of Katherines라는데, 제목을 번역할 때 고민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전혀 원제와 번역한 제목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어보이기 때문입니다. 연애에 소질이 없어 보이는 콜린이 사랑을 공식으로 만들어내면서 또 어떤 유쾌한 이야기를 펼쳐갈지 궁금해 하면서 순수한 사랑의 마음으로 조금씩 조금씩 이 책을 읽어 내려가는데 빠져 들었습니다.

발랄하면서 순수하고 어떻게보면 엉뚱한 면이 돋보이는 한 소년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를 전제로 이야기는 전개가 됩니다. 사람들은 천재라고 불리지만 자신은 천재가 아닌 신동이라면서 자신을 소개하는 콜린의 이야기로 시작이 됩니다. 특이한것이 콜린의 여자친구의 이름들이 한결같이 캐서린이었다는 것이 정말로 특이합니다. 마지막의 캐서린은 그의 19 번째 여자친구였습니다. 콜린이 19명의 캐서린에세 차였던 이야기를 해나갑니다. 그리고나서 뭔가 정리를 하기위해서 그는 자동차 여행을 하기로 결심을 합니다. 어느 무덤으로 향하다가 린지라는 엉뚱한 소녀를 만나면서 콜린에게 크나큰 전환점이 생깁니다. 린지의 엄마로부터 많은 임금과 숙식을 제공받으면서 이 곳에 머무는 동안 린지와 콜린은 서로 몸과 마음이 성장해 가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커나갑니다. 그러던 중 19번째 캐서린으로부터 여자친구가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사랑해 라는 말만하는 로봇이 필요한 것인지라는 질문을 받고 콜린은 충격을 받게 됩니다. 이것을 콜린은 수학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을 하면서 나이(R), 인기차이(C), 매력차이(H), 차는 사람과 차이는 사람의 차이(D) 그리고, 외향성과 내향성의 차이(P) 이렇게 5개의 변수를 가지고 수학 공식을 완성해 보입니다.

이러한 사랑을 수학적으로 해결해 볼려고 하는 콜린의 생각 또한 엉뚱하기도 했지만 현대 사회가 그만큼 많이 삭막해진 것은 아닌가 되 돌아보게 하는 대목이었습니다. 사랑까지도 계산하면서 한다는 것이 요즘에 들어서 많이 하는 딱딱한 현실을 순수한 사랑으로 만들었던 옛날 일들을 떠올리면 정말로 마음이 따뜻해지는 추운 겨울을 녹일 수 있지 않나 싶었습니다. 순수한 따뜻한 사랑을 느껴보고 싶은 부분들께 꼭 추천하고 싶은 소설 <이름을 말해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