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 바다에 나갈 때는 한 번 기도하고 전쟁터에 나갈 때는 두 번 기도하고 그리고… 결혼할 때는 세 번 기도하라 살림지식총서 500
남정욱 지음 / 살림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결혼의 모든 것을 이야기한다. 살림지식총서라는 표제가 딱 들어맞는, 결혼에 대한 모든 지식을 알차게 채워놓은 책이다. 결혼의 기원과 함께 어떤 과도기를 거쳐 지금의 결혼문화와 제도를 이루었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결혼의 본질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결혼은 현실이고 비즈니스라는 기혼자들의 충고에도 우리는 누구나 행복한 결혼을 꿈꾼다. 하지만 누구나 경험하 듯 내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것이 역시 결혼이지 않던가. 저자는 그 첫 단추를 잘 끼우고 올바른 결혼 생활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 우리가 인식해야 할 사고의 전환점들을 명확히 짚어나간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현대 사회의 결혼은 그 의미를 잃어버리고 과거의 단점들만 유지한 채 치루어지고 있다. 결혼식에서 보았던 상징적이고 당연한 아이템들마저 과거 매매혼과 약탈혼의 흔적이라는 것이 놀랍다. 예를 들면 면사포는 고기잡이 그물로 여자를 납치한 데서 유래한 것이고 약혼반지는 결혼 전에 건네는 착수금에서 비롯된 것이다. 신혼여행은 신부의 가족들이 신부를 포기할 때까지의 은신 기간이 변형된 것이며, 결혼반지는 신부를 약탈했을 때 채워두었던 족쇄가 앙증맞게 변한 것이란다. 결혼하면 여자로서의 삶은 끝이라던 지인들이 이 이야기를 들으면 면사포도 반지도 다 벗어던져버릴 듯 하다. 예단과 혼수, 시댁문제, 자신의 부모나 처가의 덕을 보려는 요즘 젊은이들의 사고 등 결혼을 준비해 나가는 과정의 문제점들을 콕콕 집어서 얘기할 때엔 내 속이 다 시원해지는 느낌이었다. 시작도 하기 전에 싸움과 결별의 원인이 되는 썪어 빠진 물물교환이 결혼생활의 달콤한 꿈을 갉아먹어 버리는 것이다. 저자는 결혼이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인생의 전환점이라 말하며 결혼도 공부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지금의 결혼문화를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성찰하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을 들어내는 글과 전혀 알지 못했던 결혼의 이면적인 과거까지, 신선하고 시원한 문구에 지루할 틈 없이 읽었다. 막상 하려니 복잡하고 내려놓자니 아쉬운게 결혼이다. 결혼의 모습은 끊임 없이 변화되고 지금의 제도 역시 과도기에 있다. 앞으로 결혼문화가 어떻게 바뀌게 될지 모르겠지만 결혼의 역사와 그 본질적 의미를 잘 파악하고 진지하게 사색하고 선택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