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남편, 육아빠가 될 수 있을까
오타 도시마사 지음, 송소영 옮김 / 사막여우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본순간 요즘 <슈퍼맨이 돌아왔다>나 <아빠 어디가> 처럼 아기들에게 사랑을 나눠주고 키워주는 아빠들의 관심사가 늘어나고 있는데 마침 아기를 어떻게 다룰 줄 몰라하는 초보 예비아빠로써 정말로 필요한 도서 같아서 이렇게 읽기 시작했습니다. 아이가 있어 분명히 집안에 웃음도 많아지고 행복한건 사실이지만 한편으로는 아이때문에 부부 사이의 언쟁이 끊이지 않는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싸움을 '잘'하는 부부가 행복하게 산다는 챕터 제목처럼 어떻게하면 현명하게 대처해나갈 수 있는지 또 아이낳고 더 행복하게 사는 법은 무엇인지 너무 궁금해서 꼭! 읽어보고 싶은 책이었답니다.

 

 

먼저 이 도서 <우리 남편 육아빠가 될 수 있을까>의 차례를 살펴보면,

 

 

 

 

 

 

총 여섯개의 챕터로 아기를 키우는 엄마들의 어려움을 아빠들도 헤아려서 같이 도울 수 있는 방안을 그 당위성 부터해서 어떻게 아빠들을 설득하고 그리고 어떻게 아빠들만의 육아를 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엄마들의 눈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입니다.  

먼저 아빠로써의 가정을 책임질 역할들이 많은데 만능아빠 로봇이 되어 주길 바라는 엄마들의 마음이 만화로 담겨져 있습니다. 

 

 

이렇게 중간중간 만화를 삽입해서 즐겁게 이해를 돕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정말로 재미있는 만화들이 많이 등장을 하면서 많은 공감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p21을 보면,

 

 

아빠로봇에 대한 정의를 해줍니다. 이 도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아빠로봇>은 육아뿐만이 아니라 아내들을 위한, 아이들을 위한, 생계를 위한, 전 가정을 위한 정말로 아빠의 짐이 얼마나 무거운지 알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p32에서는

 

 

이러한 아빠들이 만능로봇이 되어주길 바라는 엄마들의 마음에 비해 아빠들이 잘 못따라올때 얼마나 실망감들이 클지 정말로 상상하기도 싫었답니다. 엄마들의 일도 많겠지만 아빠들도 그에못지 않을 텐데. 이렇듯 다른 가정의 아빠들을 비교하기보다는 자신의 가정에 맞게 아빠들의 역할 기준들이 다를텐데 그에 맞게 아빠들이 잘 수행해 준다면 행복한 가정, 튼튼하고 건실한 가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p36에서는,

 

아빠들은 일터라는 곳의 밖에 주로 있다보니 엄마들의 가정에서의 일들이 많을 수 밖에 없어 야구에서 보면 살림꾼인 포수역할이면서 투수로는 에이스라고 할 수 있을꺼 같다는 것에 동감을 했습니다. 아빠의 경우에는 멀티리티로 여러가지 역할을 해야한다는 말에 공감을 했답니다. 아빠들은 돈을 버는 역할 뿐만 아니라 집으로 돌아와서는 가정일에 충실 해야하기에 쉬고 싶은 아빠들에겐 많이 힘들다는 것에 전적으로 동감하나 아내역시 쉽지만은 않은 일들이 수두룩하기에 서로간에 이해가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은 p59에서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실험에 관한 이야기 였습니다. 아내가 출산을 핑계로 친정에 가게되면 아빠와 아기와의 거리가 멀어져 육아를 해야겠다는 아빠들의 생각들이 뇌구조상 그 필요성을 상실하게 된다는 가설을 설명해 주었습니다. 태교때부터 아빠들의 육아는 시작이 된다고 하는데 이렇게 시작부터 신경을 쓴다면 자연스레 아빠들도 육아에 신경을쓰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다음은 p76과 p161을 보면, 

 

 

 

 

어느 한쪽이 아기에게만 관심이 너무 치우쳐 서로간의 사랑이 멀어져가 외로움을 느낄 수 있어 주의할 것을 꼬집어 주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가정에 아기가 태어나면 엄마들의 남편들 사랑이 아기들에게로 옮겨가게 된다는 말들이 있는데 이는 부부간의 관계 유지하는데 정말로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정말로 서로간에 육아를 한명만 너무하지말고 잘 조화를 이뤄 화목한 가정을 이뤄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육아는 전투라고들 주변에서 많이 들어왔습니다. 옛날 어른들은 아무것도 없는 환경에서도 아이들 척척 잘 키워내시곤 했는데 요즘은 육아하면 다들 겁부터 내고 돈부터 생각들을 많이 하면서 계산하기에 바쁩니다. 아내들 입장에서는 남편이 도와주는듯 안도와주는듯 경계가 모호해서 늘 싸움의 불씨가 되곤하는데 이 도서를 읽어본다면 정말로 서로간에 이해를 하면서 타협점에 이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서로 언성 높이지 앉고 정도를 지켜 행복한 아이로 키우고 싶은분들께 이 책을 통해 부부가 협력해서 육아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해 보락 권해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