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식의 속절없이 빠져드는 화학전쟁사 -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전쟁의 승패를 갈랐던 화학 이야기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20
곽재식.김민영 지음, 김지혜 북디자이너 / 21세기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과분야에만 흥미를 가지고 있던 나에게 문과의 꽃인 인문학과 경제학, 그리고 경영학을 공부하는 것은 참으로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수학을 좋아하는 나로써 경제학은 미시파트 부분에서 많이 힘들어 했었던 기억이 났습니다. 그 만큼 경제에 관한 상식도 부족했고, 관심도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일 것입니다. 경제관념이 없던 내가 이렇게 사회에 진출함에 따라 점점 경제와 밀접해질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음을 실감하고 있는 요즘 너무나 경제관념이 없음을 깨닫게 되는 순간입니다. 이 도서의 제목 <곽재식의 속절없이 빠져드는 화학전쟁사>를 보자마자 어렵지 않게 지금 전세계에 전쟁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와의 전쟁을 통해 우리 사회의 현재 문제점을 생각했을 때 세계 분위기를 분석하여 어떻게 전쟁의 역사 속에서 화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잘 해석해주고 있을 것 같다는 느낌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읽기 시작했습니다.



 

 "콜라겐은 접착제를 겐, 즉 만드는 것이다. 옛날 유럽 사람들도 콜라겐이 끈적끈적한 접착제 같은 물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화학의 발전과 함께 전쟁은 많은 인명피해를 입게 했고, 고통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었음을 알게 됩니다. 화학의 발전은 전쟁이 목적이 아닌 인류가 행복하고, 편해지기 위해서 발전하게 되었지만, 이를 악용하여 전쟁에 이용해온 역사적인 순서대로 잘 배울 수 있었습니다. 지난 과거에는 인터넷과 통신의 부재로 전쟁이 나면 그 상황을 알기 쉽지 않았지만, 오늘날은 인터넷의 발달로인해서 전쟁이 실시간으로 전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공유가 되어 얼마나 위험하고 희생적인 문제가 뒤따르는지를 공유받게 됩니다. 지금은 모든 국가가 코로나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서 고물가, 저성장으로 경제가 흐르면서 금융권에서 조차 이자율이 10%에 가까워지는 기간이 꽤나 길어 있는 만큼 그에 대한 상황 파악을 철저히하고 그에 맞는 대비를 철저히 해야한다는 것은 세계적인 긴장감을 형성하고 있음을 주위의 뉴스나 책들을 통해서 느껴오고 있습니다. 냉전 시대를 지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해서 경제가 급작스럽게 변화하고 있는 요즘 무엇보다도 지금의 변화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강구를 해야함에 절실히 느끼고 있는 요즘이라고 느껴집니다. 물가는 계속해서 오르고 월급은 그대로니 돈은 돈대로 더 안쓰게 되고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사업도 안되니 더 악순환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도서를 보자마자 자본주의의 몰락과 함께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게 되면서 다변화의 기류 속에서 이 힘든 기류를 어떻게 극복하고 또 그 원인들이 무엇인가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이 아니었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처럼 이 책 <곽재식의 속절없이 빠져드는 화학전쟁사>는 왜 우리가 극한 전쟁 속에서 화학적인 힘을 사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관점들이 보이지 않는 힘인 세계 대국들의 힘의 논리에 의해서 지배되어가고 있었는지 잘 알수 있었고, 그 몰락 속에서 미래는 어떤 경제, 문화,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한빈도의 변화가 있게 될 지 짐작할 수 있게 예측도 내고 있었습니다. 또한 우리는 어떻게 화학을 잘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역사적으로 잠시나마 생각해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