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에게 말을 걸다
김교빈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9월
평점 :

명화를 보면서 그 당시의 화가들의 삶에 대해 생각은 못하고 그 그림의 당시의 배경과 화가의 의도만 생각하고 감상을 하곤 하는 것 같습니다. 화가들의 기고한 삶들 속에서 그들이 느꼈던 그 당시의 감정들과 느낌들이 이 그림들 속에 담겨있다고 생각하니 어떻게 그들의 삶들을 살아 왔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 화가들 하나하나들의 삶들을 찾기 위해서는 그 분들의 위인전들이나 책 한권 한권을 읽어야하는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불편함 없이 책 한권 만으로도 한 눈에 알 수 있다니 너무나 행복한 것 같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그분들의 삶을 비추어서 그림도 해석해보고 나름 공감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읽어내려갔습니다. 역시나 다를까 다양한 유명한 화가들의 삶을 그림에 비추어서 생각해보고 해석도 하고 있었습니다. 그 화가들의 생각들에 대한 느낌을 반영한 공통적인 분류 작업으로 우리에게 그들의 삶을 그려보고 있었습니다. 그분들의 감각적인 부분에서 성격과 사랑에 대한 그 분들의 삶을 비추어 명화를 해석하고 생각한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았답니다. 먼저 성격에 있어서 역시나 유별났고 괴팍했던 고흐를 빼놓지 않고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이 도서의 표지가 명화라는 것이 눈에 뛰었는데 이 그림을 이 부분에 있어서도 실고 있었습니다.

"고흐가 그린 두 그림의 공통점은 그림 속 갈림길의 모티브가 한 눈에 보여진다는 것이다."
고흐의 삶은 원래 괴팍하거나 유별나지 않았지만 어느 한 순간에 의해 그의 생각들이 많이 달라졌음을 이 도서의 저자는 설명해 주고 있었습니다. 고흐는 일본의 화가 우키요에에 빠져 있다가 아를르로 이사를 가면서 그의 내면에 많은 변화를 겪게된다고 합니다. 성직자의 길을 가고 싶어했지만 성격이 과격하고 괴팍스러워서 그 길을 가지못하고 자신의 이러한 성품을 누그러뜨리기위한 방법으로 화가의 길을 선택했지만 그의 성격때문에 쉽지않음을 그의 인생을 통해 배우게 되었고, 아를르에 와서는 조울증에 걸리게 되어 어느 하루는 고흐가 고갱 앞에서 귀를 잘랐다는 추측스런 이야기들이 나오던 시점이긴합니다. 이러한 그의 슬프고 기고한 성격탓에 좀처럼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는 그였기에 이러한 명작이 탆생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래서 천재는 괴팍하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사랑만 하는 경제적인 관점에 더해졌을 때 잔느와 모딜리아니의 사랑에 관해 준비된자가 아니더라도 어느 누구에게나 온다는 것을 잔인하게 설명할 때 사랑보다는 현실이라는 요즘 우리의 단면인 풍토를 빚대어 설명해주고 있었습니다. 또한 자신의 과거를 희안하게 만들지 말고 현실에 충실해서 떳떳하게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항상 준비해야 한다는 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이 도서를 읽으면서 정말로 전기를 읽더라도 화가에 대한 삶은 잘 들려주지 않는데 이렇게 기고한 삶을 살았던 한명한명의 화가들의 삶을 들어보니 그림과 그들의 삶이 연관이 하나 부터 열까지 얽혀있었고, 그림들 하나를 볼 때 그들의 당시의 상황을 잘 알고 감상을 한다면 한층 더 성숙한 감상을 할 수 있을 꺼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 도서 <명화에게 말을 걸다>에서는 지금까지 몰랐던 많은 부분에 있어서 널란부분들도 많았고, 역시 그들의 삶은 그림들 하나하나에 혼을 다해서 그렸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많은 화가들의 삶을 비추어서 그림도 해석해보고 나름 공감도 할 수 있는 좋은기회를 가졌던 것 같아서 즐거운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