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사과
최인 지음 / 글여울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한 파란색의 표지에 늑대의 탈을 쓴 자가 한 손에는 빨간 장미와 다른 한손에는 먹음직한 토마토를 들고 있는 모습이 담긴 그림 만을 보았을 땐 이 소설책 안의 내용을 예상치 못했습니다. 다소 판타지적 요소가 강하지만 장르는 로맨스. 평범한 사랑의 이야기를 다루는 소설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북한에 있는 소설가로써 자유롭게 글을 쓰고 싶은 마음에 남한으로 틸주하여 남한에 적응하기 위한 성장기를 그리고 있었습니다.

일단 북한 탈주자에 대한 자유를 갈망하여 남한으로 탈주하여 적응하는 이야기 소재를 다루는 소설물을 읽어보는 것이 처음이었고 작가의 이야기를 다룬 것 또한 색다른 재미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의 소설의 주인공은 표기입니다. 처음 그가 남한에 넘어와서 그 대한민국이라는 사회에 처음이기 때문에 적응하기 어려웠다고 느끼지만, 차츰 낯설게 되고, 소외까지 되는 점차적으로 더욱더 마치 늪과 같은 기형화되어 간다는 사실에 낙오자가 된 것 같은 비관 속에 빠지게 됩니다. 공산주의에 있다가 철저한 자본주의 사회에 있게되어 자유라는 환상에 큰 장애물로 인해서 쓰러지게 되어 더욱어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비록 꿈에그리던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겠다는 상상 속에서표기 자신은 자신이 자본주의에 패배자로 순응하지 못하는 자신의 작품을 가슴아프게 여기며 괴로워 합니다. 그가 그러한 자신의 처지를 빚대어서 지필하는 글은 자본주의 속에서 샐러리맨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피를 먹는다는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였습니다. 이렇게 자신의 진짜 이야기를 쓸 수 있게 된 표기는 여전히 꿈을 꾸고 늑대인간이 되지만 스스로를 괴로워하던 흉물의 모습을 벗어난다는 느낌을 가진 것 같습니다. 사실 책의 중간중간 미간이 찌푸려지는 글귀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작가가 그려내는 철저한 자본주의를 표방하는 자유이야기가 읽기 멋쩍은 구석이 없지않았습니다. 독자로 표지에 그려내고 있는 것 같이 상상력을 유발시키는 책이었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 호불호가 갈릴 듯 하나 개인적으로는 약간의 난감함과 신선함을 모두 느낀 소설 <늑대의 사과>이었습니다. 현실에서도 살고자 하지만 점점 더 힘든 인생살이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심장에 빚대어 그려내고 있었습니다. 살기 위해 버둥거리다 보니 점점 깊은 구덩이로 빠지는 주인공의 삶을 잘 그려내고 있습니다. 생명의 경계선에서펼쳐지는 소설 속의 소설은 이 스토리에 더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이의 스토리를 통해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스스로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를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나를 인정해주고 내 가치를 높여주며 다독이자. 누군가를 위한 존재가 되기이전에 나를 사랑할 줄 아는 내가 되어야겠다 다짐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