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뼈, 드러난 뼈 - 뼈의 5억 년 역사에서 최첨단 뼈 수술까지 아름답고 효율적이며 무한한 뼈 이야기
로이 밀스 지음, 양병찬 옮김 / 해나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역사는 의학과 함께 했다고 봐도 무방할꺼 같다고 느낍니다. 아프면 치료를 해야하는 것이 의학의 역할 인데 사람이라는 것이 언젠가는 아프고 또 치료되고 하는 존재라 그런지 더욱더 법의학과는 땔 수 없는 관계라는 사실이 더 밑받침 해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의학중에서도 인체를 해부하는 면에서 골격을 연구하는 귀한 자료가 소장이 된 <숨겨진 뼈, 드러난 뼈> 도서를 보자마자 뼈와 관련 한 역사를 그림이 또한 함께 했다면 객관적인 사실로써 우리에게 그림이 그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을 의학적인 면에서 바라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 책을 본 순간 그림으로부터 인체의 소중한 부위의 뼈의 역사를 재미있게 알려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이 도서 <숨겨진 뼈, 드러난 뼈>를 읽기 시작했답니다.




"전통적으로 6주간의 깁스가 필요했던 손목 골절이 판과 잠금나사로 해결된다. 뼈가 약한 노인이라 할지라도 깁스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인체를 연구하다보면 의사들도 결국에는 한계를 느끼고 신을 찾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 정교하고 신비한 인체이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그러한 면에서 보면 뼈가 부러지면 깁스를 무조건 하는 것으로 고정관념을 가지게 되는데 그렇지도 않다는 사실을 설명해주고 있었습니다. 어려서부터 초등학교 때에 자주 봤던 화가들의 명화들은 항상 볼 때 마다 신기하면서도 기하하게 느꼈던 그림들이 많았는데 의학으로 부터 함께 연구 되면서 그려진 것들이 많아서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믾은 다양한 뼈와 관련한 삽화들이 많았는데 이렇게 볼 때마다 그 의미가 달랐던 것 같습니다. 뼈에 관해서 처음에는 가볍게 볼 때는 그저 평범하게 생각이 들었는데 이는 독특하게 다시 느껴지게 되었고. 지금은 이 그림의 제목과 비교를 해서 볼 때는 뭔가 남다른 의미를 두고 그러한 감정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는 생각에 참신하다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뼈와 관련된 것들이 의학과 관련이 있다면 바로 인체 해부 분야에 해당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게 되기도 했습니다. 이 책 <숨겨진 뼈, 드러난 뼈>는 뼈에 관한 모든 것들이 담겨져 있어서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공부하는 학생들도 읽으며 무척이나 흥분할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지금도 까지도 계속해서 뼈를 연구하는 분들이 있기에 우린 좀 더 편안하게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청소년은 물론 우리 어른들도 의학에 대한 지식은 물론 건강한 삶을 위해 읽어 보면 좋을 <숨겨진 뼈, 드러난 뼈> 책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