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최후의 블루오션 팜 비즈니스
류창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들어서 윤석열 정부의 양곡법 금지를 시행하고자 하면서 벌써 우리나라 자급식량에 대한 대처가 너무 안이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는데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 도서의 제목 <인류 최후의 블루오션 팜 비즈니스>가 확 눈에 들어왔답니다. 몇년전 부터 가장 핫한 이슈가 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3D 프린터, 빅데이터, 드론, 스마트카, 무인 자동차, 인공지능 등이 눈부시게 발전하는 것을 몸으로 실로 감동받고 있는 요즘이었는데, 이렇게 농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수 있는게 당연히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먹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아무리 세상이 발전하고 살기 쉬워졌다고 하더라도 농업은 정말로 필수대체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그런지 지금까지 어렵게 농사를 졌다면, 이데는 정말로 인간이 할 수 없는 영역을 넘어서 로봇들이 대신해줄 날이 얼마 안남았다는 것을 느껴지는 요즘 더욱더 농업이 발젅하겠구나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 도서 <인류 최후의 블루오션 팜 비즈니스>를 보자마자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또한 이러한 혁신적인 산업들을 기반으로해서 농업 분여는 어떻게 적용되고 변화를 하게 될지 궁금하게 느껴지게 되었어요. 과연 앞으로 있을 전반적인 농업분야에 있어서 4차산업이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이 책을 통해 주의 깊게 흥미럽게 읽기 시작했습니다.



  "농사가 생각보다 만만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어디서,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누가 조금이라도 나에게 꼭 맞는 정보를 알려준다면 큰 도움이 될텐데."

누구나 귀경을 한번쯤은 생각할 즈음에 농사에 대한 기본 지식과 또 어떻게 정보를 찾아야하는지 조차 모를때가 많은데, 요즘은 워낙 인터넷으로 정보가 넘쳐나다보니 이런 걱정은 정말로 필요가 없는듯 합니다. 글로마나 접해야했던 시기를 벗어나 이제 유투브 등의 화상을 통해서 쉽게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농사가 전통적인 전문직업이라고 한다면 하나의 일에 보통 사람들이 할 수 없는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뜻하였지만, 미래의 농사에서는 보다 더 세밀하고 정교화된 전문화되어야 하고,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이라는 특수성을 띨 때 전문적인 업종을 의미하게 될거라고 느꼈습니다. 그 만큼 미래 사회는 역동적이면서 변화무쌍한 특성을 지닐 때 살아남을 수 있음을 안다면 농사 또한 하나의 기업형 비즈니스로 성장해야 살아남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술혁신을 통해서 농업이 지금과는 사뭇 다르게 보다더 전문적으로 고도화 되겠다는 생각을 미래 직업과 맞물려서 돌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면 그래도 오래 살아남게 될 블루오션의 직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볼 때, 지금의 발전하고 있는 기술들과 함께 발전하면서 변화를 모색해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 됩니다. 지금 내가 일하고 있는 IOT 산업 분야가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가능성이 크지만, 이 발전하는 것들이 하나에 그치는 것이 하니라 연쇄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농업 분야에서도 놀라운 변화에 잘 대처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뒤쳐지지 않는 자신의 직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면서, 앞으로 변화할 미래 사회의 직업들에 많은 기대감을 안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