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기 구조 교과서 (2018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 바이올린, 플루트, 피아노, 팀파니의 메커니즘 해설 ㅣ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야나기다 마스조 외 지음, 안혜은 옮김, 최원석 감수, 야마다 마사시 외 / 보누스 / 2018년 4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2/pimg_7497131791913105.jpg)
음악의 기본이 악기를 다루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악기를 제대로 다루는 것이라곤 하나도 없는 저에게 음악의 기본에 대해 잘 알려줄 것이라 기대가 됩니다. 가장 기본인 피아노 조차 어떤 구조로 어떻게 음계를 만드는지 조차 모른느 저에게 친절하게 잘 알려줄 것 같아 읽어보기 시작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2/pimg_7497131791913106.jpg)
초등학교 시절에 건반악기라곤 한 학급에 풍금이 다 였는데 피아노를 공부하면서 오르간에 대한 건반 악기에 대해 흥미를 가졌었지만 막상 건반악기의 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한채 건반을 외워가면서 쳤던 기억이 납니다. 모든 음계를 가진 명확한 악기라 그런지 음 하나하나 마다의 세밀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2/pimg_7497131791913107.jpg)
현악기의 대표주자인 바이올린은 줄을 켜가면서 나오는 날카롭고 은은한 음색이 어떻게 저렇게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바이올린의 몸통이 왜 그렇게 둥그렇고 납작한지 이렇게 아름다운 음색을 만들어내기 위해 하나하나의 구조를 가진 것임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교향악에서 빠질 수 없는 여성현악기의 대표주자 바이올린에 대해 잘 배울 수 있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2/pimg_7497131791913108.jpg)
가장 대중적으로 잘 다뤄지는 기타에 대해 그저 튕기는 맛에 다루는 악기로 알고 있었지만, 현을 손가락으로 뜯어 소리를 내는 발현악기로써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기타는 앞판과 뒷판을 각각 2개씩 붙여 만드는데 이는 나무가 조금 변형되어도 뒤틀리거나 쉽게 뜯기지 않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앞판의 부채살 구조가 보이는데 이것은 소리가 맑게 나고 변형에도 유리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렇게 이 도서 <악기구조 교과서>는 음악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악기의 구조를 통해 그 악기가 가지는 특징들을 배울 수있는 정말로 귀중한 음악의 한 자료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이 책을 통해 많은 분들이 악기와 음악에 대해 보다 더 가깝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