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죽음의 가면 기담문학 고딕총서 2
에드거 앨런 포 지음, 김정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하늘연못에서 나온 <우울과 몽상>은 거대한 분량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지독하리만치 광기서린 포 단편문학의 집대성이라는 메리트 탓에, 괴기스러운 강박증과 한없는 죽음의 메시지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경험을 하게 했다. 황금가지에서 나온 <아서 고든 핌의 모험>만이 유일한 포의 장편소설인데, 포의 단편선은 '검은 고양이'나 '어셔 가의 몰락' '황금풍뎅이' 등이 선별되어 들어가 있는 단편집이 무수히 많이 나와있다. 생각의 나무의 기담문학 고딕 총서 2판으로 나온 <붉은 죽음의 가면> 또한 새롭게 기획된 라인업으로 발간된 참신한 시도가 돋보이지만, 그리 신선할 것 없이 포의 명성에 기대어 눈길을 끄는 단편집이다.
 

    역시 다시 읽어도 한없이 우울해진다. 스멀스멀 자신의 광기에 사로잡혀 몰락을 자초하는 심약한 인간이나, 병적인 몽상기질로 기벽을 자행하다가 최후를 맞는 인간, 병으로 요절한 사랑하는 여인을 잊지못하는 죽음의 맹세에 사로잡힌 남자, 정신적 균형을 잃고 살인을 저지르지만 순간적 오만 탓에 완전범죄를 스스로 폭로하는 인간. 도덕과 상식을 벗고, 죽음과 파멸을 향해 기행을 거듭하는 주인공들은 포와 하나같이 닮아 있어, 그 경계 없는 기괴함이 시대를 초월한 열광을 이끌어낸다.

 

    기담문학 고딕총서 가운데 가장 노출도가 심하기 때문에 <우울과 몽상>의 분량과의 싸움에서 지친 독자들에게는 반가울지 몰라도, 단편들보다는 장정과 삽화에 더 눈길이 간다. 해골을 닮은 죽음에 임박한 형상, 파멸을 부르는 도박을 형상화한 주사위, 어둠에 휩싸인 무너져가는 저택, 치렁치렁한 태피스트리가 암울한 실루엣을 던지는 침실, 기다란 낫을 가진 죽음의 사신 등, 쉽게 접하지 못했던 포 단편을 장식했던 옛 삽화들이 그로테스크한 아름다움을 불러일으킨다. 선명한 꽃과 과실을 곁들여 생명 저 너머의 죽음을 극대화한 강렬한 대비가 인상적이었다.

 

    한 여름이 되면 극장가에 쏟아지는 호러물들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식상한 짜증을 부추기듯이, 공포와 스릴러를 표방한 장르문학을 읽어줘야만 할 것 같은 계절을 노리는 출판물이 늘어난다. 더위가 싹 가시는 것은 확실하지만, 저 너머의 음습하고 광기서린 이미지의 향연을 지나치게 만끽하고나니, 권태로운 일상이 다행스러운 위안으로 다가오는 듯하다. <붉은 죽음의 가면>을 에피타이저로 삼아, <우울과 몽상>으로 비일상과 우울한 광기의 세계에 다시 한 번 빠져들어 본다. 지난 세기, 지독한 혹평 속에서 구축된 포의 세계관은 금세기에 이르러, 죽음과 파멸의 응집된 아름다움을 구현한 완전함으로 되살아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씨앗 2007-06-29 0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차일드 님 안녕하세요. 생각의나무 고딕카페 매니저 복길이라고 합니다. 우연히 알라딘 서재를 돌아다니다가 문차일드님의 '붉은 죽음의 가면' 서평을 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서평 감사합니다. 퍼갈게요~ 저희 카페에도 놀러오세요^^ http://cafe.naver.com/gothicbook.cafe

문차일드 2007-06-29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길이님, 덜컥 카페에 가입까지 하고 말았습니다. 고딕총서 앞으로도 계속 주시할 생각이구요. 뭔가 대책없이 쓴 서평인데, 민망한 겁니다. 이제 카페서 뵐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