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부모와 이혼했다 다독다독 청소년문고
라헬 하우스파터 지음, 이선한 옮김 / 큰북작은북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이 '이혼'을 받아들이는 방식

 

 

요즘 많은 가정들이 이혼을 선택한다. 예전에는 가족 간의 갈등은 무조건 참아내야 했다. 하지만 지금은 '인내'하기 보다는 자신의 삶의 행복을 찾아 떠나게 되었다. 서로 죽고 못살 듯 사는 것보다는 하루라도 어린 나이에 이혼해서 행복을 찾아가는 게 우리의 인생이 되었다. 왜냐면 옛날의 공동체 생활 보다는 '나 자신'의 인생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부모님이 자신들의 행복을 위해 이혼을 선택한 만큼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 자녀들은 어떨까? 이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게 아니다. 부모들이 힘든 선택을 결정한 만큼 자녀들의 삶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모가 아무리 관심을 가져도 아이들이 온전하게 감당해야 하는 삶의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는 아직 우리 아이들에게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아이들의 상처와 혼란은 어떻게 보듬어 주어야 하는 걸까?

 

이 책을 읽으며 만약 내가 주인공의 입장이라면 어떤 기분이 들까 많은 생각을 해 보았다. 우리나라가 아닌 프랑스 아동 문학인데도 불구하고 정서상 공감되는 면이 많이 있었다. 그것은 다른 아동 문학과는 다르게 주인공의 심리가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내가 개인적으로 개인 심리 소설을 잘 읽기 때문에 좋게 느껴졌다.

 

주인공 아이는 부모님의 이혼을 계기로 자신도 부모님과 이혼하기로 결심한다. 부모님도 자신에게 말하지 않고 이혼을 선택한 것처럼 자신도 자신만의 의지로 '이혼'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할머니가 자신이 컸을 때 쓰라고 남겨준 한 건물의 옥탑방으로 가출을 결심한다. 주말마다 아이의 엄마는 주인공인 '나'를 아빠에게 보냈다. 하지만 주인공인 나는 아빠에게 거짓말을 하고 옥탑방으로 도망친다.

 

그렇게 아이는 세상에서 온전히 혼자가 된다. 지독한 외로움과 고독감이 찾아온다. 하지만 그러는 사이에 아이는 자신만의 독립된 자아를 조금씩 찾아나간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찾아다니기도 하면서 아이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러면서 아이는 부모님이 아닌 자신만의 인간관계를 가꾸어 나가게 된다.

 

결국 부모님이 아이의 거짓말을 알게 된다. 아이를 많이 혼냈지만 결국 아이만의 세상을 존중해 준다. 부모님의 삶이 있듯이 아이에게도 아이만의 삶과 세상이 있다.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해 주기 위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님의 이혼이 아이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줄 안다면 어린 자녀들의 슬픔과 스트레스를 감당해 주어야 한다.

 

특히, 이 책은 많은 대화나 사건이 별로 없다. 부모님과의 이혼을 선택한 아이의 정신적 성장기라고 할 수 있다. 부모님이 이혼을 해서 힘든 아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었다.

 

부모한테서 조금 멀어지면서 희한하게도 나는 두 분을 되찾게 되었다. 비록 다투고 상처받았지만, 여전히 좋은 부모이고, 내가 두 분을 정말로 사랑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그리고 엄마와 아빠가 더는 서로 사랑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두 분 다 영원히 나를 사랑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 엄마와 아빠를 아프게 했지만, 나는 나의 이혼이 잘한 일이었음을 확신한다. /

이혼은 파괴다. 하지만 우리는 다시 지어 올린다.

이혼은 끝이다. 하지만 우리는 다시 시작한다.

이혼은 죽음이다. 하지만 우리는 다시 태어난다.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조금은 다르게 사랑하며 살아간다. (1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