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현실 속에서 실제로 일어난 슬픈 사건
'도가니'의 뜻은 흥분이나 감격 따위로 들끓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이 책이 지금도 슬픈 이유는 이러한 비인권적인 일이 아직도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의 한 도시, 광주의 장애인 학교에서 일어난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씌인 책이다. 처음에 그 사건이 일어났어도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 일이었다고 하니,,, 이렇게 책으로 쓰여지지 않았다면 그냥 잊힐 사건이었다는 것이 더 슬프게 다가온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사건이 일어났어도 장애인들이 그 학교를 계속 다녀야 했다니,,, 이게 무슨 말도 되지 않는 일일까? 이렇게 말도 되지 않는 일들이 우리 주변에서는 너무나 쉽게 일어나고 있고 그것에 대해 문제라고 느끼지 못할 정도로 주변 일에 대해 관심이 없는 우리 자신의 삶이 너무나 각박해진 것이 너무나 슬픈 일이다.
강인호는 한 장애인 학교에 기간제 교사가 되어 무진시로 내려간다. 김승옥의 <무진기행>의 '무진'이 이렇게 상징적으로 쓰이게 될 줄은 전혀 몰랐다. 특수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강인호는 이사장의 연줄을 통해 기간제 교사 자리를 얻게 된다. 별로 마음에 들지 않지만 어쨌든 서울에서 밀려나도 일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에 만족하게 된다. 청각장애 학생들과의 소통에 애를 먹지만 말이다.
김승옥의 <무진기행>이 중요한 이유는 마지막 결말에서의 강인호의 선택에 기인하는 면도 있다. 이유는 다르지만 선택하는 것은 결국 같기 때문이다. 이렇게 아내에게 떠밀려 가기 싫은 '무진'이라는 곳에 내려오는 설정도 같고 말이다. 이러한 안개는 대체 언제 걷히게 될 것인지,,, 몇 십 년이 흘러도 알 수 없는 불투명하고 불안한 현재를 그리고 있었다.
처음에 강인호는 말이 통하지 않는 청각장애 학생들과 관계 맺기를 힘들어 한다. 그런데 조금씩 이상한 점을 발견한다. 교장과 행정실장이 쌍둥이라는 점이나, 그리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규율로 다스리고 말썽부리지 않게 만드는 것이 지상 과제라는 것을 느낀다. 당연히 뇌물을 바치는 것도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학생 한 명이 죽었다고 한다. 대체 무슨 일이었던 걸까? 강인호는 사회와 학교 자체의 불합리하고 비겁함에 치를 떨지만 이게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이니,,, 그런 복잡한 일은 잊어버리고 학생들과의 교류에 힘써 보기로 한다. 그러면서 조금씩 밝혀지는 진실들,,, 추악하고 더럽다. 이런 어른의 세계로 정말 순수하고 연약한 아이들의 세계를 망가뜨리고 있다.
얼마 전에도 한 마을에 있는 장애인 여성을 몇 십 년 동안 그 마을 어른들이 성폭행을 가해 왔다는 기사를 보았다. 가장 보호받고 존중되어야 하는 연약한 장애인 여성이 너무나 쉽게 밟혀 버리는 현실이 아직도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말을 못하고 저항하지 못하는 여성, 특히 장애인들에게 가하는 어른 남성의 폭력이 너무나 비겁하게 느껴졌다. 왜 우리 사회는 장애인 여성을 보호해 주지 못하는 것일까??
무엇보다도,,, 결국 사회 운동을 포기하고 서울로 올라가는 강인호처럼 사회를 변화시키는 일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우리 자신들이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왜냐면 우리에게 직접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서 관심을 갖거나 사회 운동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민주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의 자발적이고 꾸준한 관심이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금방 뜨거워지고 식어버리는 냄비가 되지 말고 꾸준하게 뜨거움을 발산하는 뚝배기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이런 아픈 사건들을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