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서 만난 심리학 - 미술과 문학에 숨은 심리학 코드 읽기
박홍순 지음 / 북스코프(아카넷)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과 문학 속의 심리학 분석

 

 

미술 작품만 봐도 기분을 바꿀 수 있다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그것이 바로 <그림의 힘>이라는 시리즈 책이었다. 자신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기 위한 그림과 심리학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미술 작품은 전혀 다르다는 걸 이 책을 보고 분명하게 알게 되었다. 심리학의 측면에서 분석하기 좋은 그림들은 보기만 해도 우울하고 감정적인 동요를 드러내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색깔도 어두침침해서 <그림의 힘>에서 나오는 작품들과는 확연한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 대비가 재미있게 느껴졌다.

 

이 책은 자기계발서 종류의 심리학 책이 아니다. 필자가 저자의 말에서 밝힌 것처럼 마음이나 정신을 수양하는 차원이 아니라 본격적인 심리 분석의 글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읽고 사람 간의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스트레스 받는 감정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 마음의 평화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궁금한 사람은 다른 책을 보기를 권한다. 하지만 심리학 자체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은 재미있게 읽어 볼 만한 책이었다.

 

그래서 심리학 입문서로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심리학 이론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이론들이 무엇인지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심리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는 사람이 그것이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분석되는지 알고 싶을 때 읽기에 적절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필자인 박홍순은 미술 작품과 문학 작품을 다양한 심리학 이론과 인문학적 소양을 가지고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읽어 내기에는 어느 정도의 심리학이나 인문학적인 수준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심리학의 본격적인 학술 서적에 가까웠다. 하지만 미술 작품에서 느껴지는 감상을 문학 작품과 철학, 인문서적에서 찾아내어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 많아서 일반인이 읽기에도 무리없이 읽혔다. 단지, 문학 작품과 인문서적 등을 인용하는 부분이 너무 많아서 뚝뚝 끊기는 느낌이 없지 않아 있었다. 그 문학 작품과 인문서적을 모두 읽었다면 읽는 데에 큰 문제가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만약 책을 읽지 않았다면 조금씩 인용된 부분만 읽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마지막 3부에서 심리가 사회적 행동을 조종한다며 다중인격을 권하는 현대사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대 시대가 완전한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만큼 가상 세계나 네트워크에 어울리기 위해 우리는 점점 더 짧은 토막의 파편으로 변화되는 것 같다. 말도 짧고 간결하게 하려고 하고 아예 이모티콘을 쓰거나 하는 것처럼. 게다가 사이버 세상은 자신의 인격을 새롭게 만들기에도 무척 쉬우니 말이다. 언젠가는 다중인격이 하나의 자연스러운 사회문화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씁쓸하기도 했다.

 

어쨌든 원래 미술 작품을 좋아해서 많이 봐왔고, 심리학에도 관심이 있었던 터라, 이렇게 미술 작품과 심리학을 함께 접할 수 있었다는 점은 무척 반가운 일이었다. 게다가 미술 작품을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감상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심리학의 무의식에서부터 인간의 불안, 우울, 열등감과 우월감 등과, 인간이 범죄를 저지르거나, 지배하고 복종하는 관계, 다중인격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어서 재미있는 읽기였다.

 

 

* 네이버 책좋사 서평단으로서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