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한국중국일본이 가르치지 않는 역사

 

 

'역사왜곡'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하지만 역사 자체가 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논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역사가들의 관점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얼마만큼 객관적이고 공정한 역사를 서술할 수 있는지는 바로 글을 적는 역사가들의 도덕과 양심에 맡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 역사가 국가 차원에서 바라보게 된다면 국가의 이익이나 민족의 자부심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가 드러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 일본은 서로와 관련된 역사를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어떤 사실을 거짓으로 만드는 것도 문제지만 이 책에서는 가르치지 않는 역사도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가 중요한 이유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때 배운 내용을 하나의 진리로 받아들이고 평생 살아가기 때문이다. 특히, '역사'는 한 나라의 민족적인 정신과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성인이 되었을 때 자신이 배운 게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기에는 전공자가 아닌 이상 어려운 일이다. 그런 만큼 주변 국가로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영향을 주고 받는 한국, 중국, 일본이 학생들에게 어떤 역사를 가르치느냐는 무척 중요한 일이다.

 

먼저, 한국의 역사 교육을 살펴보자. 저자인 김종성은 한국의 역사가 사대주의 사상이 아니라 더 넓은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었다. 고려나 조선이 중국에 '조공'을 보내는 것은 그 당시 나라에서 주관하는 공적인 '무역 행위'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의 국력이 약해서 많은 선물을 바쳐야 했던 것이 아니라, 주는 만큼 중국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받아낼 수 있었다는, 특수한 물물교환 형식이었다는 점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에 사대를 하기는 했지만, 그만큼 다른 나라와 관련해서는 우리가 사대를 받는 입장이기도 했다. 또한, 우리의 옛날 역사에서 왕이 아니라 중국의 황제를 의미하는 '태왕'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면서 민족의 자부심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김종성은 한국의 역사에서 자부심을 느낄만한 부분을 중심으로 글을 전개해 나가고 있어서 그가 역시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실감하면서 책을 읽었다.

 

한국의 역사에서 새롭게 알았던 부분은 조선 시대에 분서갱유와 비슷한 일이 있었다는 점이었다. 중국의 진시황처럼 특정 지식의 책들을 없애버리려고 꾸준히 노력했는데, 그것은 바로 고조선의 역사였다. 얼마 전에 김진명의 <글자전쟁>도 읽은 터라 내가 고조선을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내가 알고 있는 것보다 고조선의 역사가 더 대단하고 유구하게 흘러왔다면,,, 그 시대를 고스란히 중국에 빼앗겨서는 안 된다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는 고조선을 단순히 단군신화로만 받아들이고 있지만 실제 고조선은 살아움직이는 고대문명 중 하나였던 것이다. 왜 지금까지 신화나 전설로만 치부하면서 더 알아보려고 하지 않았는지 의문이 들었다. 우리는 우리의 시조라고 하는 단군의 고조선에 대해서 대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화랑도의 세속오계가 불교가 아닌 우리의 전통 종교인 '신선교'에서 나온 가르침이라는 점도 새롭게 알았다. 우리의 전통 신앙을 일제강점기 시대에 철저하게 미신으로 치부해 버린 일은 단편적으로는 알고 있었다. 그런데 우리에게 중국의 도교와는 비슷하지만 다른 사상이라고 하는 '신선교'의 전통이 있었다고 하니, 뭔가 흥미롭게 다가왔다. 사실 화랑도의 사상을 배우면 유교, 불교, 선 사상을 함께 결합했다고 하지 않았나.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중국의 도교와 우리나라의 신선교의 차이점은 이 책만으로는 알기 어려웠다.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책이 있는지 궁금했다.

 

어쨌든 이외에 중국과 일본은 민족적인 자존심을 훼손할 수 있는 내용은 잘 가르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양한 예시를 들고 있었다. 중국은 동북아공정의 문제, 그리고 소수민족의 독립과 관련한 다양한 갈등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일어볼 만한 이야기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은 왜 일본이 독일처럼 자신들의 전쟁 역사에 대해 책임을 가지고 사과를 하지 않는지, 미국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설명한 부분은 무척 흥미로웠다. 미국의 세력 확장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한 희생으로 우리나라는 아직도 친일파들이 득세하고 있는지도 몰랐다.

 

이 책은 우리가 몰랐던 역사, 그리고 우리가 자세히 알기 어려운 중국과 일본이 가르치는 교과서까지 참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았다. 하지만 해적이나 무역과 관련된 부분은 조금 반복되는 감이 있어서 아쉽게 느껴졌다. 이런 역사책을 읽으며 느끼는 것은 역사의 한 페이지를 바꿀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헛된 망상이었다.

 

 

* 네이버 책콩 서평단으로서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