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 우리 모두의 진짜 자존감을 찾는 심리학 공부
김태형 지음 / 갈매나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회 집단을 혐오하는 것은 스스로 다른 인간을 사랑하고 존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그 어떤 혐오주의자도 될 수 없다. (33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악학개론 EUMSE Academic (음악세계 아카데믹) 1
J. P. E. 하퍼-스코트.짐 샘슨 엮음, 민은기 옮김 / 음악세계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라서 언제나 우리는 작곡가들 자신의 분석을 뛰어 넘어서 생각하는 것이 좋다. 근본적으로 우리의 분석은 작곡가, 연주자, 감상자, 또는 연구자로서의 ‘우리의 활동을 위한 것이다. (45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함께 산다는 것 - 세상의 작동 원리와 나의 위치에 대한 사회학적 탐구
아브람 더 스반 지음, 한신갑.이상직 옮김 / 현암사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사회조직은 서로 의존하고 그 의존을 통해 연결되는 사람들로 만들어진다.
달리 말하면, 사회 조직은 상호 의존하는 사람들의 구성체이다.
사회과학은 스스로가 만든 사회 조직 내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연구한다.
(18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청년지성 총서 2
조효제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는 ‘인‘을 공감 능력 또는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는 능력이라고 설명하면서, 인간은 홀로 선 존재가 아니라 ‘상대방을 고려할 줄 아는 마음two-man mindedness‘을 지닌 관계론적 존재라고주장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인‘이란 사람이 둘 있을 때 서로 사이에서 생겨나는 의식, 즉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고 타인의 마음에 공감하며, 동정할 줄 아는 의식이다. (73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털어놓기와 건강
페니베이커 / 학지사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왜 우리는 질병이 대한 심리적 전조를 알아차리지 못하는가?
그 이유 중 하나는 인과 관계를 인식하는 우리의 능력과 관련이 있다.
(16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