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의 구조를 읽는다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2
가라타니 고진 지음, 최혜수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다른 분야도 문외한이지만 특히 경제 분야는 용어도 생소하고 이론도 다소 복잡한 듯하여 잘 읽지 않는다. 하지만 여러 분야를 고르게 읽자는 생각으로 이 책을 들었다. 경제에 관한 세계사이다. 생산양식을 경제적 하부구조의 측면에서 본 마르크스에 반해 가라타니 고진은 생산양식이 아니라 '교환양식'이라는 경제적 하부구조 측면에서 사회구성체의 역사를 새롭게 보고자 했다.

증여와 답례, 약탈과 재분배, 상품교환 등등 교환양식을 가지고 세계 시스템의 변화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나에게는 한 번 읽어서는 이해하는 데 무리가 있는 듯하다. 이 책을 통해서 세계경제의 흐름과 변화의 측면을 알 수 있었다. 경제에 관한 서적에좀 더 시간을 할애해야겠다.


<1장.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자>
#19
마르크스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물질대사로 봤습니다. 그 말을 직역하면 물질교환입니다. 즉,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에서 '교환'을 본 것입니다.

#25
러시아혁명 후의 마르크스주의자가 농업의 집단화를 꾀했을 때 농민 측의 저항이 별로 없었던 것은, 그들에게 토지를 사유한 경험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농민들은 이전에 차르에게 종속되었던 것처럼, 스탈린에게 종속되었습니다.

#34
일본에서 헌법 9조를 실현하고 군비를 방기하라는 운동을 한다고 칩시다. 그리고 그 결정을 유엔에서 공표합니다. 이에 대해 다른 나라는 일본에 간섭할 수 없습니다. 일본의 선택은 다른 나라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면 유엔도 바뀌고, 그래서 다른 나라들도 바뀝니다. 이런 식으로, 한 나라 안에서의 대항운동이 다른 나라의 대항운동과 고립. 분단되는 일 없이 연대합니다. 제가 ‘세계 동시 혁명’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러한 이미지입니다.


<2장. 자본주의의 끝, 어소시에이셔니즘의 시작>
#58
모세의 신, 즉 유대교는 보편 종교입니다. 그것은 국가와 민족의 종교가 아니라 개개인이 그 종교에 귀의하는 것이며, 유대교에 귀의한 사람이 유대인으로 간주될 뿐입니다.​


<3장. 생산 지점 투쟁에서 소비자운동으로>
어소시에이션이즘(associationism)은 "상품교환 원리가 존재하는 도시적 공간에서 국가나 공동체의 구속을 거부함과 동시에 공동체에 있던 '호수성'을 고차원적으로 회복하려는 운동"이다. 여기서 호수성(互酬性)이란 호혜성(互惠性)으로 번역될 수도 있는데,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서 증여를 받은 쪽이 준 쪽에 뭔가를 갚음[酬]으로써, 상호 관계가 갱신,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의 가장 근본적인 형태는 가족관계에서의 부모와 자식, 형제 사이에 나타나는 '절대적이고 강제적인'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출판사 제공-


<4장. 교환양식론의 사정>
#163
정주 혁명이 시작된 시점 이후 세 개의 교환양식이 본격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주 이전, 즉 수렵채집 유동민 단계에도 세 종류의 교환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중략) 정주하면 다른 집단과의 적대 상태를 어떻게든 해결해야만 합니다. 그래서 증여의 호수(혼인을 포함)로 우호 상태를 만듭니다. 그것이 씨족사회지요. 따라서 세 가지 교환 타입은 옛날부터 있어왔지만 함께 비로소 '교환양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장. 유동의 자유가 평등을 초래한다>
#221
수렵채집 유동민의 경우 획득한 것을 공동 기탁하는 시스템이 있스니다. 이것은 그들이 유동적이므로 자연히 이루어집니다. 유동적인 생활에서는 축적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다 같이 소비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빈부의 격차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도인의 단계에서 자유와 평등을 초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6장. 협동조합과 우노 경제학>
#274
생산자=소비자 협동조합에서는 각자가 노동자이며 동시에 경영자입니다. 거기에는 임금노동자가 없고, 자본가도 없습니다. 노동력 상품을 지양한다는 것은 자본계기업을 국영화하는 게 아니라 주식회사를 협동조합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주식회사가 자본주의의 '소극적인 지양'이며 협동조합은 그것의 '적극적인 지양'이라고 말합니다.


<7장. 이소노미아, 혹은 민주주의 갱신>
#304
앞으로, 자본주의는 원리적으로는 끝나겠지만 쉬이 쇠퇴할 리가 없고, 다른 자본주의국가가 쇠퇴하더라도 자기 나라는 더 살아남으려고 악착같이 저항하면서, 경쟁이 더더욱 극심해지겠지요. 이것은, 전쟁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제1차 대전도 그랬지만, 전쟁은 생각지도 못한 데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전쟁을 저지하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헌법 9조라고 하면 일본 국내만의 문제로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것에는 칸트의 이념이 들어있으며, 세계사적으로 보면 큰 의미가 있습니다. 제가 <세계사의 구조>를 통해 하고자 한 것이, 바로 그것을 명확히 하는 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