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틀랜드 -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에서 뼈 빠지게 일하고 쫄딱 망하는 삶에 관하여
세라 스마시 지음, 홍한별 옮김 / 반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난, 성적, 경제적 불평등은 개인의 문제일뿐인가?

  

1.

지난 며칠 동안 이 책에 흠뻑 빠져서 지냈다.

2020. 6. 5.자 한겨레 책 소개 기사를 보고 바로 주문해서 책을 받은 후 읽기 시작했는데 얼마전 비슷한 성격의 두 책, 『제인스빌 이야기』(에이미 골드스타인), 『힐빌리의 노래』(J. D 밴스)와는 또 다른 매력이 넘치는 책이었다.

 

2.

『힐빌리의 노래』는 개인적 경험에 바탕 한 미국 노동계급의 현실을 실감나게 알려주고 있지만, 개인적 성공에 치중하고 그 성공의 원인을 개인의 선택 및 해병대의 좋은 교육덕분이라고 말하는 등 사회를 보는 시각이 좁고, 구조적 문제는 도외시하는 책이라는 단점이 있고, 『제인스빌 이야기』는 이에 비해 GM공장 폐쇄로 위스콘신주의 작은 마을이 어떻게 어려움에 처하는지 기자 출신 저자의 객관적인 시각 및 심층 취재로 하나의 잘 짜인 소설을 보는듯한 느낌의 책이라면,

 

이 책 『하틀랜드』는 낙후된 캔자스 주의 시골에서 모계 쪽으로 수대에 걸쳐 10대 임신, 남편의 폭력, 가난, 약물중독의 늪에서 허덕이는 가운데 이 고리를 끊기로 결심하고 이를 실행하는 큰 과정 속에서 저자 및 그 주위 가족들의 삶을 세밀하게 복원하고 있는 책이다.

 

3.

이 책은 저자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상상속의 딸 오거스트(August)에게 들려주는 내밀한 이야기 형식의 책이다. 그러나 이것은 저자가 늪에서, 굴레에서 멋지게 벗어나서 대학교수까지 됐다는 성공스토리가 아니다.

온갖 어두운 가족의 과거를 두려움 없이 회고하고 직시하고, 그 과정에서 가난은 단순히 개인의 게으름 문제가 아니고 사회구조적인 문제라는 것을 설교조가 아닌 진솔한 어투로 말하고 있다.

 

백인 여성인 저자는 “날마다 일을 하는데도 생계를 유지할 수 없고 그 원인이 인종주의가 아니라면,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라고 의문을 표시한다.(29쪽)

 

레이건이 주 정부의 권한 확대와 규제 완화를 내세우며 감세정책을 시행하였는데, 실제로는 개인 영역에 정부가 간여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종류의 억압이 생겼으며, 20세기 중산층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던 연방 정책들이 폐기되고,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갑부들이 막후의 제왕으로 등극해 기업의 지배가 시작되었음을 알려준다.(50쪽)

 

미국의 현실에서 가난한 여자가, 그것도 10대에 아기를 낳아 기르는 것은 힘들고 아기가 있으면 더 가난해지므로 엄마와 자녀들로 이루어진 싱글맘 가족이 미국 전체에서 압도적으로 가난한 가족 형태를 이룬다. 그래서 저자는 가난과 폭력 등의 고리를 끊는 첫 걸음으로 임신, 출산을 거부하고 실행한다.(77쪽)

 

“내 어린 시절의 많은 부분은 어른의 악몽 속에서 깨어 있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우리의 악몽은 가난이었어. 가난은 심리적 위험뿐 아니라 죽음의 위험도 함께 가져오지.

내 어린 시절은 민간 건강보험과 제약업계가 실질적으로 미국의 영리병원 제도와 결합한 시기이기도 해. 그래서 보험이 없는 우리 같은 사람들은 병원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지”(112쪽)라고 저자는 토로하고 있다.

 

4.

저자는 자신이 거둔 성공은 혼자만의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외할머니와 엄마 덕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하고 있다. 외할머니 베티는 개정교육법 제9조에 따라 기회를 잡아 법원에서 일자리(제도권 일자리)를 구해 극도의 빈곤을 탈출하고 남자에 의존하는 삶의 고리를 끊었으며, 엄마는 적어도 폭력을 행사하는 남자를 선택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126쪽)

이것을 보면 가난, 폭력, 약물 등의 고리를 끊는 것이 한사람 또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새삼 알게된다.

 

 

5.

400쪽이 넘는 책 곳곳에 저자의 내밀한 목소리가 들리는데, 가장 가슴 아프게 다가오는 부분은 어릴 때부터 겪은 엄마로부터의 애정결핍 부분이다. 16세 때 자신을 출산한 엄마조차 정신적으로 완벽한 어른이 아니었으리라. 귓불에 이어링 구멍을 내고 앙 울음을 터뜨린 자신을 엄마가 품에 안고 가게 밖으로 나갔던 순간이 엄마 품에 안긴 유일한 순간이었다는 저자의 회고에서 엄마 품에 따뜻하게 안기고 싶은 어린 꼬마의 열망이 절절하게 전해져온다.

 

6.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주옥같은 내용이 너무도 많아서 다 정리하기가 어렵다.

저자는 마지막 부분에서 가상의 딸 오거스트에게 말한다.

 

“그래, 너는 내 딸이 아니라 고양된 나 자신이었어. 너는 수호천사가 아니라 사회에서 내 몸과 정신이 가치가 없다고 계속 주입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거기에서 분리되어 표출된 나 자신의 힘이었어.”(412쪽)

 

오거스트는 대문자로 쓰면(August) 8월을 뜻하지만, 소문자 august라고 하면 형용사로 대단하고 위엄 있음을 뜻한다고 하는 내용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저자는 굳은 결심과 행동으로 위엄있고 중요한 사람으로 성장해간다. 



7.

사족

책 표지의 촌스런 그림이 정겹다. 호수에 배가 떠있고, 버팔로를 몰고가는 말탄 사람들, 웨건을 끌고 가는 소들,밭가는 농부 등....

 

그림 상단에 “AD ASTRA PER ASPERA”라고 써 있는데  “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해”라는 뜻의 라틴어라고 한다.(187쪽)


저자의 의지를 대변하는 말인 듯 하다.

 

우연히 캔자스 주기라는 말이 본문 중에 나오길래 구글을 찾아보았더니 위 촌스런 그림이 바로 캔자스 주기(Kansas State Flag) 그림이었다. (사소한 발견 ^^)

 

정말 간만에 좋은 책을 읽은 느낌이다.

먼 나라 백인 하층계급 이야기이지만 우리의 현실과 전혀 무관한 내용이 아닌듯하다.

일독을 강추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목 선생의 사학명저강의
이윤화 옮김 / 신서원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1.
출간된지 십수년이 지난 이 책을 우연히 알게되어 구입해 읽게되었다. 전목(錢穆 치앤무)이란 이름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고 오래전 박영문고로 번역출간된 [中國歷代政治의 得失](신승하 역)를 읽은 바도 있다.

2.
얼마전 읽은 가의의 [과진론.치안책](허부문 옮김 책세상),
[중국근대의 지식인] (원제 : 淸代學術槪論) ㅡ 전인영 옮김, 혜안,
[사기와 한서](오키 야스시, 김성배 역, 천지인)를 읽은데 이어 이 책까지 읽게되었다.

3.
저자는 중국 역대의 사학 명저인
상서(서주서 부분),
춘추,
춘추3전(춘추좌전, 공양전, 곡량전)
국어, 전국책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고승전, 수경주, 세설신어
유지기의 史通
두우의 通典
오긍의 정관정요
구양수의 신오대사, 신당서
사마광의 자치통감
주희의 자치통감강목, 원추의 통감기사본말
정초의 통지
마단림의 문헌통고
황종희의 명유학안, 전조망의 송원학안
장학성의 文史通義

등을 저자 특유의 박식함으로 전체를 조망하듯 설명하고있다

4.
웬만한 학자들은 감히 엄두도 낼수 없는 저자의 박식과 엄청난 독서량을 바탕으로한 설명은 전체 중국사학사를 조망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곳곳에 보이는 저자의 중화중심 사상을 기반으로 한 편협한 시각은 눈쌀을 찌프리게 한다.
원서가 출간된 지점이 1970년대 초라는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저자의 시각은 고루하고 일방적인 부분이 적지않다.

5.
결론적으로 중국 사학 명저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뿐만 아니라 좀더 깊은 해설을 듣는 유익함은 분명 많지만,

通儒로서의 깊은 통찰력, 예리한 안목은 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런 느낌은 위에서 언급한 [중국역대정치의 득실]을 읽었을 때도 비슷한 느낌이었다.

물론 이것은 순전히 중국역사 애호가로서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느낌일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기와 한서 - 중국 정사正史의 라이벌
오키 야스시 지음, 김성배 옮김 / 천지인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1.
처음으로 사기열전을 읽은 것은 학부시절 길거리 헌책방에서 구입한 최인욱, 김영수 선생 번역의 동서문화사판 《사기열전 上, 下》두권이었다. 30년 전 그때의 감동이 지금까지도 생생하다.

그 이후 까치 출판사의 정범진 등이 번역한 사기 전역을 읽었고 그 다음에는 서울대 이성규 교수가 편역한 서울대학교출판부의 《사기》등을 읽었지만 만족할 만한 사기 해설서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2.
이 책 《사기와 한서》는 아담한 사이즈에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내용과 깊이가 남다른 책이다.
일본학계의 저력이 어느정도인지 짐작할 수있게한다.

사기 삼가주(三家注, 사기집해, 사기색은, 사기정의) 이후 사기에 관한한 최고 수준의 주석서로 평가받는 일본의 타키가와 카메타로(瀧川龜太郞 롱천귀태랑 1865~1946)의《사기회주고증(史記會注考證)》이 출간된게 1930년라니 일본학계의 수준이 놀라울 뿐이다.

3.
이 책은 사기와 한서를 비교하며 친절하게 두 사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백과사전식의 수박겉핥기 수준이 아니다.

그 중 한고조 유방과 서초패왕 항우 기사 중 사용되고 있는 글자 逃(도망할 도)와 跳(뛸 도) 의 차이를 분석하는 장문의 상세한 분석은 가히 압권이다. 이러한 치밀한 분석이 일본학자들의 특장점인것 같다.

이전에 읽은 요시키와 고지로의 《독서의 학》을 읽으면서도 느낀바다.

4.
간만에 책을 읽으며 희열을 느낀 시간이었다.
우리 나라에도 사기에 대한 깊이 있는 주석이 달린 제대로된 번역이 어서빨리 출간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사통의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44
장학성 지음, 임형석 옮김 / 책세상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1.
六經皆史
육경은 모두 史다라는 주장으로 명성이 자자한 장학성의 《문사통의》를 발췌 번역본이지만 처음 읽었다.

솔직한 느낌으로는 글의 논지가 모호하고 주장이 고루하며 글을 읽는 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2.
역자는 상세한 미주를 달고 있지만 저자가 주장하는 글의 맥락을 해설하는 것보다는 인명, 책명에 대한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수준의 해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예, 118쪽 주 177번, 178번 등)

그렇지만, 저자의 서술이 고전 어느부분을 인용한 것인지 출전을 밝히는 상세한 미주 부분은 매번 섭영의 <문사통의교주> 몆쪽이라고 부기하고 있는 부분은 번역자의 성실함과 정직성이 돋보이는 부분이라고 느껴졌다.

3.
다시한번 사마천의 사기가 얼마나 대단한 책인지 절감하는 계기였으며, 또한 얼마전 읽은 양계초의 《청대학술개론》(국역, <중국근대의 지식인>. 전인영 옮김)은 대가다운 안목과 해설이 남달랐다는 느낌이다.

4.
결론적으로 역자의 공들인 번역은 나쁘지않았지만,
당대에 인정받지 못하고 잊혀졌던 장학성은 나이토 고난(內藤湖南)과 호적(胡適)에 의해 재발견되어 사후에 높이 평가되었다고 하는데 적어도 나에게는 그리 매력적인 인물은 아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 근대의 지식인
앙계초 지음 / 혜안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이 책은 1920년 발간된 양계초의 청대학술개론(淸代學術槪論)중국 근대의 지식인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한 책이다. 저자의 또 다른 저작인 중국근삼백년학술사(中國近三百年學術史)와 상호 보완적인 책이다.

 

2.

원제목 그대로 고염무부터 강유위, 양계초(저자 본인에 대하여도 3인칭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 색다르다)까지 청대의 저명한 학자들의 저술 및 학파에 대하여 개론적인 서술을 하고 있는데, 내용은 간략하지만 역시 대가다운 혜안이 번득이는 곳이 적지 않다. 광대한 청대학술 내용을 이러한 거장의 안내로 간결하게 일별할 수 있는 명저라 생각된다.

 

3.

고염무(일지록), 염약거(상서고문소증), 황종희(명이대방록), 왕부지(독통감론 등), 대진(맹자자의소증), 단옥재(설문해자주), 왕염손(독서잡지, 광아소증), 왕인지(경의술문, 경전석사) 父子, 장학성(문사통의), 공자진(정암문집), 위원(해국도지), 강유위(대동서), 담사동(인학) 등 청대 유명짜한 학자들과 그의 저술에 대해 백과사전식 따분한 표피적 설명이 아니라, 위 학자들이 활동하던 시대상황 속에서 그들의 저술이 어떠한 주장을 하고 있고 또한 그것이 청대학술사에서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저자의 해박한 식견으로, 또한 쾌도난마식으로 시원하게 설명하고 있다.

 

4.

저자의 또 다른 저작인 중국근삼백년학술사(中國近三百年學術史)는 아직 번역되지 않은 것 같은데 전문가에 의해 속히 번역되기를 기대해본다.

 

사족으로 사소한 오타하나 지적

244쪽의 “.....하혜경(夏穗卿)....”은 하수경의 오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