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헝거 게임으로 철학하기 - 순수 저항 비판
조지 A. 던 외 지음, 윌리엄 어윈 엮음, 이석연 옮김 / 한문화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헝거 게임으로 철학하기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영화 '헝거게임'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철학적 개념들을 이끌어내서
설명한 책이다. 철학에 대해 너무 무지하여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소설만 읽다가 이 책을 읽다 보니 책을 읽으면서 딱딱한 느낌도 조금
들었다.
그래도 어려운 철학 이야기를 재미있는 소설에서 접목시켜 설명한 것은 좋은 것 같다.
1장에서는 대중오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실제로도 소설 '헝거게임'을 읽으면서 대중오락에 대한 비판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 점을 잘 짚고 있다. 책을 읽은 지 시간이 꽤 흘러 카토라는 사람이 죽었다고 하는데 (그것도 매우 잔인하게) 누군지는 잘
모르겠다(...)
여러 동물이 뒤섞인 기괴한 변종생물은 카토를 아주 천천히 고통스럽게 죽인다.
그 이유는 이 헝거 게임이 하나의 쇼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아주 극단적인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작년에 헝거 게임에서 목숨을 걸고 게임을 한다면 돈을 걸고 게임을 하는 케이블 프로그램 '더 지니어스'이 있었다.
매번 다른 게임을 하는데 한 게임을 하던 중 게임을 진행하는 데 꼭 필요한 어떤 출연자의 신분증을 여러 명이서 숨겨서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실제로 우승에 욕심이 생겨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태도들은 사회적으로 비난을 받는다.
하지만 헝거 게임에서는 고작 돈을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담보로 걸고 게임을 한다.
그런 면에서 작가는 요즘 세대의 대중 오락을 비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재미를 위해서라면 극단적인 설정도 감수하는 것처럼 헝거 게임은 사람이 죽는 장면을 재밌다고 보고 앉아있는 것이다.
또한 이 책에서 언급되어 있는 피타와 캣니스의 관계에서도 흥미로운 분석을 하고 있다.
둘의 비극적인 관계를 보면서 관객들은 안타까워하고 슬퍼하지만 깊은 생각을 하지는 않는다는 것인데
더 큰 흥분으로 구경거리가 오락적 가치를 가지면 그 뿐인 것으로 실제로 그들의 비극적인 관계를 안타까워 하지만
게임을 중지시키려고 하는 이는 아무도 없다.
가장 인상적으로 읽었던 1장 외에도 여러 장에 걸쳐서 흥미로운 철학적 개념들이 등장한다.
11장에서는 예전에 배웠던 개념인 콜버그의 도덕적 단계와 길리건의 도덕적 이론도 나온다.
길리건은 남성과 여성이 도덕적 추론 방식이 다르다고 주장하는 학자인 것으로 기억한다.
차근차근 읽다보면 여러 학문적 관점을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