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탁 북스토리 재팬 클래식 플러스 5
니시 카나코 지음, 임희선 옮김 / 북스토리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니시 가나코의 '원탁'을 익었다. '원탁'은 고독해지고 싶은 초등학생 고토코와 그녀의 가족에 대한 내용이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고토코의 성격이 워낙 특이하여 읽다가 몇 번 흠칫했다.

최근 청소년들이 사춘기 자아 형성 과정에서 겪는 혼란, 불만을 중2병이라고 부르는데, 고토코는 초3병(?)에 걸린게 아닐까 의심스러웠다.

친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에게 불리한 말을 하면 그 대상이 친구든 부모든 교사든... '시끄러워 바보야'라고 소리치는 것이 충격적이었다.

또한 친구가 패닉에 빠진 것, 말을 더듬는 것 등을 동경하고 따라하여 주위의 시선을 받는 것에서 안쓰럽기도 하고 특이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책의 말미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하지만, 이 책은 기본적으로 '성장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고독해지고 싶은 고토코는 결국 고독을 경험하게 되면서 고독이 그렇게 자신이 생각하고 동경해왔던 것과 같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가족의 소중함, 친구의 소중함 등을 깨닫는 과정이 나와 있다.

하지만 '성장'이라는 말이 직접적으로 나와있는 것에 비해 그런 소중함을 깨닫는 과정은 두리뭉실하게 나와 있다는 느낌은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의 성장에 있어서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도 무리일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정도의 표현인 것 같다.

고토코가 더 말수가 없어진 것은 조금 걱정되기도 하였지만 결국 나중에는 진짜 어른이 되어서 고독을 즐기는(?) 사람이 될 지도 모르겠다.

사실 고토코보다 주변인물들이 더욱 매력적이었던 것 같다.

말을 더듬지만 하는 말을 들어보면 굉장히 총명한 '폿상', 어른스러운 매력의 소유자 '고다 메구미' 등 모두 개성 넘치는 친구들이었다. 

또한 고토코의 친구 중에서 '박군'이라는 아이가 있어 혹시 한국 사람인가 했는데 정말 그랬다.

거기다 작가는 놀랍게도(?) 일본에 억지로 끌려온 한국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리고 고토코의 가족들! 소소한 재미를 즐기는 세쌍둥이 언니, 어떻게보면 고토코보다 더 순수하고 생각이 없는 부모님^^;

냉소적인 할아버지와 마음 따뜻한 할머니까지 북적이는 집을 사실 고토코도 무의식적으로는 좋아할 것 같다.

일본 소설 특유의 소소한 일들이 나열되면서 어느 정도의 재미는 주지만 큰 한 방은 없는 것 같아 약간 아쉬웠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오랜만에 잔잔한 느낌이 들어 좋았다.

 

P.S. 뭔가 책을 읽으면서 '셈을 할 줄 아는 까막눈이 여자'의 놈베코가 생각났다.

      그런데 책 후반부에 나오는 '쥐인간'은 대체 왜 나오는 건지 알 수가 없다. 고토코의 성장을 위해서 집어넣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시 27분 책 읽어주는 남자
장-폴 디디에로랑 지음, 양영란 옮김 / 청미래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작가 장-폴 디디에로랑의 첫 번째 장편소설 '6시 27분 책 읽어주는 남자'를 읽었다.

제목이 굉장히 독특해서 흥미로운 소설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그 예감이 맞았다.

책의 줄거리는 책을 파쇄하는 직업을 가진 한 남자가 지하철에서 어떤 여자의 글이 담긴 USB를 발견하면서 일어나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 책의 분량이 230쪽 정도 되는데 어떤 여자의 글이 담긴 USB를 줍는 것은 책의 절반 정도가 지났을 때이다.

 

 처음에 책을 읽을 때는 황당하고 약간 화가 나기까지 했다.

이 책의 주인공 길랭 비뇽은 매일 아침 출근길에 6시 27분행 지하철을 타고 그 지하철에서 책을 큰 소리로 읽는다 (...)

최근 지하철을 타고 가면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나 취객을 많이 만나서 순간 발끈했다.

책에서 사람들은 길랭의 책 읽는 소리를 민폐로 생각하고 싫어하기는 커녕 기다리는 사람도 있었기 때문이다.

아침 일찍 피곤한데 소음으로 느끼지 않을까 했는데 책 읽는 소리는 아직 들어보지 못해서 상상을 못하는 것일지는 모르겠지만 이해는 아직도 잘 안 된다.

어쨌든 길랭은 아침에 책을 읽고 책을 파쇄하는 일을 하러 공장으로 들어간다.

책을 파쇄하는 기계의 묘사는 참으로 자세하여 상상이 되는데 참 무섭고 징그러울 것 같다.

특히 사고를 당한 주세페를 떠올리면 더욱 그렇다.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USB를 줍기 전까지 책의 내용은 이렇다할 사건 없이 진행되는데 요양원에서 책을 낭독하는 장면이 재미있었다.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길랭에게 호감을 느낀 할머니 자매는 요양원으로 그를 초대하여 책을 낭독하도록 하는데.

책 한 장을 읽고나면 요양원에 있는 여러 사람들이 책의 인물의 나이나 배경 등 여러가지를 추리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그렇게 살짝 미소를 지으면서 보던 이 책은 한 여자의 USB를 길랭이 줍게 되면서 흥미를 더해간다.

공중화장실에서 일하는 쥘리의 글은 솔직함이 가득한 글이었는데 길랭이 그녀를 좋아하고 찾게 될 만도 했다.

그리고 결말을 읽고 책을 덮게 되었을 때 감동을 느꼈다. 최근 들어 읽은 책 중에서 결말이 참 만족스러운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장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7
나가오카 히로키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하는 나가오카 히로키의 작품 '교장'을 읽었다.

'교장'은 경찰학교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일들을 그려낸 책으로 공교롭게도 출판사 비채에서 최근에 낸 '그랜드맨션'과 구조가 유사하다.

'그랜드맨션'이 한 맨션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기묘한 일들에 대한 책이라면

'교장'은 경찰학교 98기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기묘한 일들에 대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역시 마찬가지로 장편소설이라고 되어있지만 장편소설보다는 연작소설이나 단편소설의 느낌이 든다.

'그랜드맨션'과의 또 한 가지 공통점을 뽑자면 두 책 모두 흥미진진하다는 것이다.

 

 경찰학교에서 무엇을 배우는 지는 전혀 몰랐기 때문에 매우 관심이 가는 내용들이 많았는데,

불심검문부터 차량수색, 체포 등 작가가 매우 공들여서 알아보았을 정보들이 가득하다.

매번 등장인물이 바뀌기 때문에 고정적인 인물은 교관들인데 그 중 눈길을 끄는 사람은 가자마 교관이다.

처음에는 카리스마 있지만 뒤에서 학생들을 지켜보는 온화한 인물인줄 알았으나 가면 갈수록 하는 짓이 가관이다(^^:)

그래도 그 분위기나 행동, 말에서 느껴지는 박력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생생히 느껴져서 존재감이 대단했다.

 사실 장편연작소설의 느낌이 있기 때문에 각 장의 패턴이 비슷하다는 생각은 들었다.

주로 두 인물들이 등장하여 결국 그들의 비밀이 탄로나는 것이다.

불심검문이나 개미구멍 편에서는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충격적이어서 한 동안 다음 장으로 넘기지 못했다.(특히 개미구멍....)

그런데 원래 경찰학교라는 것이 이렇게 힘든 곳인지 몰랐다.

경찰이라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 엄격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들지만 정말 실제로 그렇게 따귀를 때리고 손등을 멍이 들도록 때리고 그럴까..?

6개월이라는 단기간의 기간을 거친 후 졸업을 한다는 것도 뭔가 신선했다.

우리나라 경찰학교와는 또 다르겠지만...

나가오카 히로키의 작품은 이번 '교장'으로 처음 읽는 것인데 다른 작품들도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콜릿 코스모스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온다 리쿠는 미스터리만 쓸 수 있는게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책 읽는 즐거움을 알려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