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PROUST적인 삶의 방식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남을 배려하며 겸손할 수 있는 것, 일상의 사소한 것들이라도 진부하지 않게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는 것, 이러한 모든 것이 PROUST적인 삶의 방식인 것이다.  


  한 인간의 삶과 그의 사고 및 행동방식에 대해서 좋아할 수 있다는 것은 멋진 일인지도 모른다. 허나 이 책을 읽은 내가 PROUST적 삶의 방식에 대해 그저 추종하고자 한다면 결코 이것은 PROUST적 삶의 방식이 아닐 뿐더러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한 것도 아닐 것이다. 
 

  결국 나는 이 책을 통해 PROUST의 영향을 받을 수는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PROUST적 삶의 방식이 아닌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완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이제 나는 이 책을 저멀리 치워버리고(책의 마지막 부분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나만의 이야기, 나만의 삶의 방식을 만들어보아야 할 것이다. 

[주요 내용] 

 p.123 

상투어의 문제는 잘못된 관념을 담고 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아주 훌륭한 관념들을 피상적으로 조합해 낸다는 데 있다.
 
상투어들은, 한편으로는 단지 피상적으로 스쳐 지나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상황을 적절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생각을 우리에게 심어주기 때문에 해로운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가 말하는 방식이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느끼는 방식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묘사하는가는, 어떤 수준에서는 우리가 그것을 처음에 어떻게 경험하는가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p.223   


무언가가 물리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결코 그것에 주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상황은 아님을 제시한다. 사실 존재란 바로 우리가 그것을 무시하고 간과하게 만드는 요소일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시각적 접촉만으로 모든 일을 다 했다고 느낄 것이기 때문이다. 

p.270  


(독서를) 학문 분과로 만드는 것은 단지 '자극'에 불과한 것에 너무 큰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독서는 정신적 삶의 문턱 위에 있다. 그것은 우리를 정신적 삶으로 인도할 수 있지만, 정신적 삶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가장 훌륭한 책들조차도 결국에는 내팽개쳐야만 하게 마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