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로마를 만들었고, 로마는 역사가 되었다 - 카이사르에서 콘스탄티누스까지, 제국의 운명을 바꾼 리더들 서가명강 시리즈 20
김덕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들은 로마를 만들었고, 로마는 역사가 되었다 (서가명강 20)

김덕수 / 21세기북스

 

사실 저는 세계사에는 별 관심이 없는 학창 시절을 보냈어요.

한국사는 좋아했지만 세계사에는 큰 관심이 없었고, 그래서 그 흥미진진한 로마사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했어요.

하지만 최근에 로마와 관련된 책을 읽으면서 새삼 로마의 매력에 대해 깨닫게 되었는데요, 로마의 문화나 예술 등도 멋지고 훌륭하지만, 역시나 그런 멋지고 훌륭한 로마를 만들어 낸 위대한 지도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더 흥미진진하더라구요.

울대 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시리즈는 믿고 읽는 책 중 하나인데요, 이번 서가명강의 20번째 강의는 바로 탁월한 리더십으로 로마를 이끈 위대한 지도자 4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주사위는 던져졌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브루투스, 너마저!' 등 우리가 '카이사르'라는 이름에서 떠올리는 익숙한 말들이 있어요.

로마사를 모르는 저조차도 '카이사르'라는 이름은 알고 있었는데요, 권력에 눈이 먼 독재자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카이사르는 쿠데타를 일으켜 공화정의 전통을 파괴하고 권력을 독점하는 등 독재자라고 비난받기도 하지만 분명 훌륭한 업적도 많고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한 사람이기도 해요.

놀랐던 점은 그가 '클레멘티아 Clementia', 관용을 베풀었다는 점이었어요. 내전 중에 자신을 적으로 삼았던 사람들도 지속적으로 적대 행위를 하지 않으면 너그럽게 포용했다고 해요. 사실 독재자나 권력자를 떠올리면 '관용'이라는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데 말이에요.

브루투스 등은 카이사르의 독재에 대항해 그를 죽였지만, 오히려 로마 인민들은 암살자들을 배신자로 간주했다고 해요.

그들은 자유보다 인민의 복지와 안녕을 보장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던 것 같습니다.

 

-

팍스로마나, 즉 로마의 평화가 지중해 세계에 가능하게 한 황제가 바로 '아우구스투스'입니다.

그의 본명은 옥타비아누스인데요, 그를 후계자로 지목한 카이사르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그는 스스로 자신의 지위를 굳혀가야 했습니다.

그는 삼두정치를 결성해 조금씩 자신의 입지를 구축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최후 승리자가 됩니다.

그는 카이사르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공화정의 위상을 회복시켜 주면서 조금씩 권력을 자신에게로 귀속시킵니다.

영국의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은 아우구스투스 체제를 '공화정체로 위장된 절대군주정'이라고 평가했다고 해요.

 

현재도 정치인들의 포퓰리즘을 보고 비판하는 일들이 있는데요,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도 '빵과 서커스'라는 말이 있었다고 합니다. 시민들이 국가를 생각하기 보다는 황제가 제공하는 빵과 서커스에 길들여져 희희낙락하며 살아가고 있다며 그 모습을 비판한 말이라고 해요.

 

-

하층민 출신으로 황제가 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혼란과 무질서로 위기에 처한 로마의 구원투수로 평가받는데요, 군인 황제 시대에 군사적인 능력을 인정받아 황제가 된만큼 강력한 통치권을 발휘해 로마를 안정시키려고 해요.

그는 광범위한 로마제국을 합리적이고 원활하게 통치하기 위해 2명의 황제와 2명의 부황제가 통치하는 '4제 통치 체제'를 수립합니다.

그리스도교를 박해했다는 것으로 그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시선이 있지만, 분명히 그는 그 시기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화폐와 조세, 군대 등 여러 부분의 개혁을 단행한 업적이 있기도 해요.

그는 특이하게 죽음을 맞이하기 전에 퇴위를 결정하고 노후에는 채소도 가꾸며 편안하게 보냈다고 합니다.

 

 

-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 칙령과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교를 로마의 중요한 종교로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한 황제입니다.

그전까지의 로마는 다신교 국가였는데요, 그리스도교의 경우는 하나의 신을 믿기 때문에 많은 박해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로 인해 그리스도교의 지위는 달라졌고, 결국은 이후의 서양 중세의 그리스도교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었어요.

 

-

훌륭한 리더십의 위대한 지도자들이라 하더라도 그들 역시 부정적 시선과 긍정적인 시선이 공존할 수밖에 없을 거에요.

그들의 일생과 업적에 단 하나의 단점도 없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들의 역할과 업적이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 로마의 긴 역사에 기여했으리라고는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뉴스를 보면 참 나라 안팎으로 이런저런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훌륭한 리더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자주 생각하게 되는 요즘이에요.

책 속의 4명의 황제가 보여준 리더십을 보니, 현재에도 100% 훌륭하다라고 단언할 수는 없더라도 무언가 훌륭하고 멋진 시선과 행동을 갖춘 리더가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