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 푸른숲

 

컴퓨터나 다른 기계가 다른 사람이 네가 맡은 일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더 빨리, 더 정확히, 뭐 어떻게든...

아무도 너보다 더 잘할 수 없는 것은, 네가 너 자신으로 있는 일이야.

 

_ <어둠의 속도> 225p

 

 

 

얼마 전 한 TV프로그램을 보는데, 복잡한 미로 그림을 그리는 한 소년이 등장했다.

소년이 단숨에 그린 것은 간단한 미로가 아니라 아주 복잡하고 정교한 미로 그림이었고, 그림 자체에 메세지까지 담겨 있었다.

소년은 어릴 때 경계성 자페진단을 받았고 꾸준한 치료로 완치는 되었지만 외로운 날들을 보내다 우연히 보게 된 미로에 푹 빠져 미로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고 했다.

소년의 재능과 미로 그림이 담고 있는 소년 마음 속 목소리까지 너무도 인상적이었다.

 

이번에 읽은 <어둠의 속도>에는 근미래의 자폐인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소설 속 자폐인들은 그들이 사는 나라에서의 마지막 자폐인 세대이다.

의료 기술이 발달하여 그들 이후의 자폐아들은 태아나 영아일 때 이미 치료를 받아 '정상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가기 때문이다.

소설 속에서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은 이 마지막 자폐인 세대의 한 명인 '루 애런데일'이다.

 

루는 규칙적이고 정형화된 생활을 한다. 정해진 시간에 출근을 하고, 정해진 시간에 퇴근을 하고, 요일별로 정해진 계획대로 장을 보거나 빨래를 하거나 센터에 간다.

정기적으로 정신과 의사의 상담도 받아야 하는데, 루는 자폐인에 대한 의사의 확신에 찬 태도에 고통을 느끼지만 의사가 원하는 대답을 하며 그 시간을 견딘다.

의사에게도 말하지 않은 루의 생활이 있다면, 그건 바로 펜싱이었다.

 

그러던 어느날, 회사에 새로운 부장으로 '진 크렌쇼'가 부임하고, 그는 회사 내 자폐인들이 받는 대우에 불만을 제기하며 현재 연구중인 새로운 치료법에 그들이 참여하기를 원한다.

루를 포함한 A부서 직원들은 '정상인'이 되는 치료를 받을 것인지에 대해 고민한다.

 

어쩌면 처음에는 루의 행동이나 사고 과정이 생소하고 어려웠다.

루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계획대로 생활하고, 우리가 보기에 일상적이고 평범한 상대방의 질문이나 행동에 대해서도 여러 방향으로 생각하고 판단한다.

하지만 점점 루의 모습을 따라가면서, 오히려 루의 주변에 있는 소위 '정상인'들의 비상식적인 모습들을 접하게 되었다.

그들은 루를 그저 자신들과는 다른 '비정상인'이라고 판단하고 예의없고 무례한 행동들을 서슴없이 한다.

자폐인들을 그저 자신들보다 아래라고 생각하고 함부로 판단하고 끼어들고 결정한다.

 

그 중에 가장 압권은 '돈'이었다.

루가 자신보다 좋은 직장을 다니고, 펜싱을 더 잘하고, 자신이 마음에 둔 여자가 그에게 더 관심을 가지자 결국은 범죄를 저지른다.

하지만 마지막까지 반성이나 후회는 하지 않고, 그저 루 때문에 자신이 펜싱 클럽에서 쫓겨났고, 허접한 일자리밖에 못 구하고 있다고 원망의 말을 쏟아낸다.

나 자신이 누구인가는 저에게 중요합니다.

나는 나 자신이기를 좋아합니다.

자폐증은 나 자신의 한 부분입니다.

전부가 아닙니다.

 

_ <어둠의 속도> 394쪽

 

 

 

어쩌면 소설 속 몇몇 인물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정상인'으로 보이지만 결코 상식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오히려 루가 더 상대방을 배려하고 상대방을 믿기 위해 애쓴다.

뭐, 소설 속에서 찾을 것도 없다.

뉴스만 보더라도 자폐가 아닌 정상인이라는 이들이 저지르는 수많은 반인륜적 범죄 행위들이 수시로 보도되고 있으니까.

 

생각해 본다. 자폐를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 있다면 나는 기꺼이 그 치료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

소설에서는 시험 단계였지만, 만약 성공이 100% 확실한 치료법이 있다면, 나는 받아들일 것인가.

그리고 이런 생각도 든다.

꼭 그들이 '정상인'이 되어야 하는 것일까.

그냥 그들 자체로 볼 수는 없는 것일까.

그저 '다름'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을까.

사람마다 고유의 개성과 특징이 있듯이, 그들에게는 남들과는 다른 그런 개성과 특징이 있다고 말이다.

 

나와 다른 사람들을 떠올려 볼 수 있게 하는, 그래서 나와 조금은 다른 그들에게 무심코 차갑거나 무심한 시선을 주지 않도록 한번 더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조금은 다를 수 있는 그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게 하는, 그런 많은 생각이 들 만큼 마음 속에 오랫동안 여운이 남는 소설이 될 것 같다.

 

 

 

 *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