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답다 추하다 당신의 친구
사와무라 이치 지음, 오민혜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 제목이 정말 특이하다.

<아름답다 추하다 당신의 친구>라니, 도대체 어떤 내용일지 궁금했었다.

소설은 외모지상주의 사회, 외모 등으로 정해지는 교실 내 서열 등 학교를 배경으로 한 잔혹한 호러 괴담 미스터리 정도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

저주를 건 '범인'이 우리 반에 있다.

 

도립 요쓰카도 고등학교 3학년 2반, 그 반에서 제일 예쁜 여학생인 '하무라 사라사'가 자살한다.

사라사는 얼굴이 예쁠 뿐 아니라 집도 부유하고 공부도 잘하는, 그야말로 학생들 사이에서도 상위 그룹이자 넘사벽인 존재였다.

그런 사라사의 죽음 이후 반에서는 이상한 기류가 잠시 형성되었지만, 이내 두번째로 예쁜 여학생이었던 '노지마 유나'를 중심으로 새로운 분위기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수업 시간 갑자기 유나의 얼굴에 수없이 많은 여드름이 돋아나더니 곧 얼굴을 뒤덮고 터지면서 고름과 피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자신의 상태를 알게 된 유나의 중얼거림...

"그럼 사, 사라사도, 유어 프렌드의...."

 

요쓰카도 고등학교에 전해지는 괴담이 있다.

1989년 2월, 학교에서 한 여학생이 옥상에서 투신자살을 했다.

그녀는 이름이 아름답다라는 뜻의 '레미'였음에도 얼굴이 엄청나게 못생겨서 사람들로부터 놀림을 당했었고, 그래서 그녀의 자살을 사람들은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 후 학교에서 몇 년에 걸쳐 몇몇 여학생들의 자살이 연이어 일어났다.

그렇게 생겨난 소문은, "유어 프렌드" 쇼와 64년 4월호가 존재하고(쇼와 연호는 64년 1월에 끝났으므로, 4월호는 존재할 수 없음), 그 잡지 속에 자살한 레미가 남긴 주술, 증오하는 여자를 추하게 바꿔버리는 무시무시한 주술이 적혀 있다는 것이었다.

 

3학년 2반 학생인 '구조 게이'는 유나의 책상 근처에서 주술이 적힌 쪽지를 발견했고, 사라사의 열혈 추종자였던 '가노 마미'는 죽은 사라사를 위해 주술을 건 범인을 찾겠다고 다짐하며 나름의 수사를 시작한다.

 

도대체 누가 이런 끔찍한 주술을 사용해서 같은반 여학생들을 죽게 만드는 걸까?

이런 주술이 정말로 존재하는 걸까?

 

-

멸시하면서도 원하고 있다.

가까이하긴 싫어도, 지켜보면서 즐기고는 싶은 것이다.

추한 인간을, 추하게 무너져가는 인간을.

자기가 다음 표적이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않고, 계속 구경꾼으로 존재할 수 있으리라 믿으면서.

얼마나 어리석은가.

얼마나 야비하고 천박한가.

 

_ 155쪽

 

소설은 시작부터 너무 충격적이었다.

부모와 딸의 모습으로 시작하는데, 부모는 자신의 딸이 못생겼다고 공공연하게 이야기한다.

그 부모는 자신의 딸에게 "그 못생긴 얼굴은 뭐니?", "사회에선 그런 거 안 통해. 넌 못생겼으니까."라는 폭언을 함부로 내뱉고, 딸은 그런 말을 당연하게 듣고 자신은 못생겼다고 스스로 이야기한다.

 

본격적인 내용은 3학년 2반 여학생들에게 일어난 기이한 일들과 범인인 듯한 학생의 시점이 번갈아가며 진행된다.

사라사와 유나에게 일어난 기이한 일을 시작으로 '히메의 저주'가 적힌 '유어 프렌드'가 존재하고, 그 잡지를 가지고 있는 누군가가 예쁜 여학생들을 저주해 그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 것이라 학생들은 믿는다.

그리고 그 다음 화살이 누구에게 향해질지 여학생들은 겁에 질려 있다.

 

3학년 2반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태도는 무척이나 잔인했다.

학생들뿐 아니라 교사들 역시 강 건너 불구경 하듯이 겉으로는 걱정하는 척 하면서도 오히려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즐기는 듯 보였다.

3학년 2반의 남은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모 등급을 매긴 명단이 버젓이 돌아다니는 것도 끔찍했는데, 교사들 역시 그 명단에 대해 웃으며 이야기하고 아이들의 등급 매기기에 말을 보탠다.

 

소설 속 아이들에게 가장 안타깝다고 여겨진 것은, 가장 의지할 수있는 가족으로부터 외모에 대한 언어폭력을 당해 왔다는 것이었다.

아이들의 소원은 그저 평범한 얼굴을 갖고 싶다는 것이었다.

부모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못생겼다는 말을 듣지 않아도 되는, 그런 평범한 얼굴 말이다.

3학년 2반의 몇몇 학생들만이 아니라, 담임 교사인 마이카 역시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로부터 외모에 대한 폭언을 들었고 심각한 정신적 상처를 입었다.

어머니의 "마이카는 웃을 때가 제일 나으니까."라는 말 때문에 그녀는 어떤 상황에서도 웃고 또 웃는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은 그녀의 얼굴을 가면같고 가식적이라며 거리를 두고 가까이하기 어려워한다.

 

-

외모, 이쁘면 물론 좋다고 생각한다.

못생기면 그대로 개성있고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소설 속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받은 외모에 대한 평가로 고통받고 힘들어하고 있었다.

 

외모에 따라 평가되어지는 사회, 학교 내 서열과 급.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단언할 수 없기에 슬프고 안타깝고 애잔하다.

 

'아름다움'이라는 건 상대적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누가 봐도 절대적으로 아름다운 사람이 있겠지만, 조금 덜 아름답더라도 사람은 누구나 자신 그대로 소중하다.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을 소중하고 아름답고 여기는 마음이 아닐까.

 

"이까짓 일로 자신을 부정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그런 건 마음먹기에 달렸어요.

자존감이 높으면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어요.

항상 웃을 수 있고요. 그러니까 웃으세요." (286쪽)

 

입에 발린 말이고, 뻔한 말이지만, 그래도 가슴에 새기면 좋을 말이었다.

그리고 소설 속에 정상적인 사람이 있어 다행이다라고 안심했다.

 

-

학교 괴담에 범인을 찾아가는 미스터리가 더해져 흥미진진했고, 의외였던 범인(어느 정도 예상할 수도 있으나, 스토리상 의외라도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의 정체도 좋았다.

 

현실에 엄연히 존재하는 극심한 외모지상주의에 학교의 괴담이 어루어져 공감 가는 흥미진진한 미스터리 한 편이 완성되었다.

사와무라 이치의 다음 소설도 기다려진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