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처음 접했던 추리소설은 '추리소설의 여왕'이라고 불리우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들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바로 해문출판사에서 출간된 애거서 크리스티의 빨간 책들이었는데, 우리 집 혹은 이종사촌 언니 집에서 빨간 책이 보이면 서슴없이 들고 읽었던 기억이 난다.

 

나이가 들면서 다른 류의 추리소설을 알게 되고 애거서 크리스티나 코난 도일의 책을 예전만큼 읽고 있지는 않지만,

그 책들을 읽었던 건 추억이 방울방울 솟아나는 아련한 기억들이다.

 

그래서일까,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라는 책은 그립고 아련한 어린 시절의 나를 현재로 불러오는 듯 추억에 잠기게 했다.

 

저자는 이 책의 한 줄 요약을 "애거서 크리스티 작품 새로 읽기"라고 설명한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삶과 소설, 그리고 당시 사회의 모습을 16개의 주제로 나누어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펼친다.

책을 통해 애거서 크리스티를 좋아했던 그 시절의 추억을 함께 공유하는 바람을 담아서 말이다.

 

역시나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탐정' 이야기를 시작으로, 저자는 애거서의 소설과 삶 속에서 집, 독약, 병역면제, 섹슈얼리티, 호텔, 교육, 신분 도용, 배급제, 탈것, 영국성, 돈, 계급, 미신, 미시사, 제국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애거서는 집 보러 다니길 좋아하고 여러 채의 집을 소유하기도 했던 의외의 모습이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 때는 적십자 구급간호봉사대에서 일했고, 과로로 폐 질환을 앓은 후 약제사로 일하게 되었다.

그녀는 약제사로 일하는 동안 처음으로 추리소설을 쓸 생각을 했다고 하는데, 그렇게 주변에 널려 있는 독약을 소재로 독살에 대한 소설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을 썼다고 한다.

 

애거서의 소설 속에는 호텔도 많이 등장한다.

실재하는 사보이 호텔, 리츠 호텔 외에도 호텔 자체를 마치 주인공처럼 내세운 소설 <버트램 호텔에서>라는 작품도 있다.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이유에서인지 그녀의 소설 속에서는 사립학교에 대한 은근한 비난의 말도 보인다.

또한 추리소설이 저급한 대중소설로 폄하되는 것이 싫어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자신의 지적, 도덕적 우월성을 드러내기 위해 셰익스피어를 자주 인용하곤 했다고 한다.

 

애거서의 작품에는 탈것, 즉 이동수단을 소재로 한 것도 많다.

유명한 <오리엔탈 특급 살인>도 그렇고, <푸른 열차의 죽음>, <패딩턴 발 4시 50분>도 그렇다.

애거서는 원래도 오리엔트 특급을 좋아하고 애용했다고 한다.

특히 오리엔트 특급을 타고 떠난 첫 여행에서 운명의 짝을 만나 결혼까지 하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가 들려주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삶과 그녀의 소설 속에 담긴 사회의 모습들은 흥미로웠다.

아무래도 외국의 역사나 사회 상황에 대한 묘사는 잘 모르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소설을 읽으면서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등장 인물의 대사나 인물 간의 대화로 당시의 사회 모습까지 알아챌 수는 없기에 그냥 넘기고 흘려듣기 십상인데, 이 책을 통해 소설 속 인물의 대사 하나하나에 당시 그들의 삶의 모습이 가득 담겨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을 읽은지 오래되어서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번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를 읽으면서 그녀의 소설들이 새롭게 다가왔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다시 한번 그녀의 소설들을 다시 읽어보고 싶다.

분명히 그 소설들은 예전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리라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는 그저 지나쳐 버린 소설 속 인물들의 대화에 귀 기울이고,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만 같다.

 

추리소설의 여왕 '애거서 크리스티'와 그녀의 작품들에 대해 흥미있고 즐거운 수다를 떤 것 같아서 기분 좋은 시간이었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 옆에 살포시 이 책을 두고, 다시 펼쳐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