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읽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 읽기 쉽게 새로 편집한 자본론의 핵심이론 만화 인문학
야마가타 히로오 감수, 코야마 카리코 그림, 오상현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가 '부는 어떻게 분배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세계 각국의 200년 이상된 데이터를 15년에 걸쳐서 조사하고 연구한 성과가 <21세기 자본>이라고 한다.

이렇게 엄청나게 방대한 자료를 집대성한 책은 800쪽이 넘는다고 하니, 평소에도 경제 서적을 어려워하는 나는 아마 근처에도 가지 못했을 거다.

그런데, 이 어려운 책을 만화로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단다.

그럼 안 읽을 이유가 없지... ^^

 

 

-

작은 광고 회사의 사무직원인 '히카리'는 절약하면서 급여를 차곡차곡 모으며 살아가는 성실한 여성이다. 하지만 급여는 낮고 그마저도 미뤄지기 일쑤다.

어느날, 문조 사육자 오프라인 모임에 나간 히카리는 그 곳에서 만난 사람들에게서 소득의 격차를 느낀다.

그들은 재벌 아가씨, 개인투자가, 여러 군데의 라면 가게를 경영하는 사장, 세무사, 지주, 대학 교수 등 돈, 사회적 지위, 명예를 '가진 자'들이었다.

만화는 히카리가 그들을 만나면서 새로운 인생(일)을 바꾸기 위해 이야기를 듣고 실천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

경제 개념이라든가, r>g라는 공식이라든가, 세금 관련이라든가 모르는 것 투성이지만, 그래도 내가 아는 게 있다.

바로 요즘 세상에서는 소득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고, 돈이 돈을 불린다는 사실 말이다.

 

 

​(156쪽)

소득이 상위인 사람일수록 자본소득의 비중이 높아 자산을 부동산과 사업자금 등의 자본으로서 소유하고 거기에서 수익을 올린다.

 

 

피케티는 경제 이론을 신뢰해도 격차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유는 '자본 수익률(r)'>'경제 성장률(g)'이라는 현실이 있기 때문이란다.

과거에 축적된 부는 노동으로 얻은 부보다 성장이 빠르고, 그 결과 부유층이 점점 부자가 된다.

​그건 비단 'r>g'라는 공식이 아니더라도 우리 모두 아는 사실 아닐까?

 

 

부동산 값은 해마다 치솟아(작년의 경우는 '해마다'라기 보다 '달마다'라고 해야 맞을까?), 일반 서민들은 내 집 한 채 마련도 어렵지만 소위 돈 있는 자들은 많은 집을 보유하고 있다.

어린이 억대 주식 부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기사를 본 적도 있다.

역시 돈이 돈을 불린다. r>g라는 현실이 눈에 보인다.

 

 

또한 피케티의 말처럼,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는 점점 격차가 심화되는 사회가 된다면,

교육이나 기회의 평등이 어려워지는 사회가 될지도 모르겠다.

지금도 역시 부와 권력을 가진 이들이 편법과 불법을 저지르며 자신의 자녀들에게 더 좋은 환경을 주기 위해서 힘을 쏟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런 격차를 그저 어쩔 수 없다는 일로만 바라보고 포기해야 할까?

 

 

피케티는 빈부 격차가 크면 법 앞의 평등, 평등을 전제로 한 자유 경쟁 등의 서회 정의가 지켜지지 않는다라고 하며,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말한다.

부동산, 금융 자산 등 모든 자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누진자본세'를 세계에서 동시에 부과하는 것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아무래도 현실적으로는 실현되기 어려운 일로 보인다.

 

 

(184쪽)

피케티가 지적하는 격차 시정의 방법 중에 이 나라에 맞는 길은 우선 g를 올리는 것이다.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는 노력은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r>g의 현실을 바뀌지 않아도 10년 정도의 기간을 생각하면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일은 격차 해소 수단으로서 당연한 노력이다.

 

피케티가 제안하는 격차를 줄이는 방법 중의 하나는 우선 g(경제 성장률)를 올리는 것이다.

경제성장률이 1% 혹은 2% 정도라고 하면 당장은 너무 낮지 않냐는 생각이 들지만, 10년 정도의 기간 동안 꾸준히 성장한다고 생각하면 그 성장률은 10% 혹은 20%에 이르게 된다.

그러니 장기적 안목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도전할 수 밖에 없다.

만화 속 히카리의 말처럼, 넓은 안목으로 멀리 바라보는 일도 소중히 여기기를 다짐해 본다.

 

 

 

 

 

-

그냥 책으로만 읽었다면 아마 내용의 반의 반도 이해하지 못했을 것 같다.

만화에서도 텍스트로 알려주는 부분은 한번에 딱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았으니 말이다.

그런데 만화 속에서 히카리와 주변 사람들의 모습을 보니, 완전히 이해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워도 이렇게도 가능하겠구나를 알 수 있었다.

 

어려운 책을 이렇게 평범한 누군가의 모습을 통해 자연스레 설명해주니, 나처럼 경제서적을 어려워하는 사람들도 쉽고 재미있게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