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다 덮은 후에도 한참을 멍하니 있었다.

난설헌, 그녀의 삶이 너무 팍팍하고 애처로와서 쉬이 다른 생각을 할 수 없었다.

책 표지에 있는 슬픈 표정의 그녀가 계속 내 머릿속을 맴돌았다.

 

열다섯, 꽃다운 나이에 꽃보다 더 아름답고 영특했던 그녀는 결혼을 한다.

상대는 안동 김씨 집안의 김성립.

결혼을 앞두고 함을 받던 날부터 불길한 일들이 연이어 일어나고, 혼례를 치르고 시댁으로 가는 날도 비가 추적추적 내린다.

여자임에도 비교적 자유로운 집안 분위기에서 글을 읽고 시를 쓰던 그녀를 시어머니인 송씨는 탐탁치 않아 한다.

그녀의 남편인 김성립 또한 자신보다 뛰어난 그녀가 곱게 보일 리 없었다.

그렇게 시작된 고된 시집살이 가운데에서도 다행히 다정하고 따뜻한 숙모 영암댁이 있어 다행이었다.

그러나 자식을 먼저 앞세워 버린 그녀는 결국 지치고 지쳐 여전히 꽃다운 나이 스물 일곱에 생과 이별한다.

 

 

 

 

여자의 운명,

그녀뿐만 아니라 소중한 딸 소헌마저 여자라는 이유로 할머니 송씨에게 좋은 대접을 받지 못하자, 그녀는 암담함에 눈물이 흐른다.

 

남존여비 사상이 만연하던 시절에 그녀가 가진 천부적 재능이 오히려 그녀에게 화가 된걸까?

그녀의 재능을 알아주고 키워 주었던 부모와 가족들의 곁을 떠나 김성립의 아내로 살면서부터 그녀의 삶은 무너져 내린다.

김성립이 과거에 낙방한 것까지 그미(난설헌)의 탓으로 여기는 시어머니를 보니, 가슴이 답답해졌다.

 

그녀에겐 저런 남편과 시어머니로 인한 불행만으로도 힘들고 벅찼을텐데, 어린 자식 둘 마저 허망하게 보내 버리고 만다.

그녀에게 닥치는 시련과 불행들이 너무 야속했다.

 

그녀가 다른 남자와 결혼을 했더라면,

그녀의 재능을 존중해주는, 아니 최소한 저리 야박하게 구는 속 좁고 능력 없는 남자가 아니었다라면...

그녀의 재능을 못 피우는 삶이었을지언정, 저리 불행한 삶까지는 안 살지 않았을까.

아... 시를 쓸 수 없다면 마찬가지로 행복하지 않았으려나...

 

난설헌이 결혼을 하기 전과 후의 모습이 극명하게 대비되어 더욱 애잔하고 서글펐다.

자신의 모든 것을 알아주고 독려해 주고 아껴줬던 친정 식구들과는 달리, 송씨와 김성립은 눈살이 찌푸려지고 화가 날만큼 소인배들이었다.

어쩌면 난설헌의 모습과 송씨와 김성립의 모습이 저 시대의 보통의 모습은 아니었겠지, 라고 믿고 싶어진다.

여자로서의 삶이 어찌 저리 슬플 수가 있을까.

 

표지를 다시 쳐다본다.

모든 것을 체념한 듯한, 그녀의 슬픈 눈과 붉은 입술이 애달프다.

그래도 다행이다.

그녀의 시가 우리 곁에 남아 있어서.

그녀의 삶은 불행했지만, 그녀의 시가 언제까지나 그녀가 여기 이곳에 있었음을 상기시켜 줄테니...

 

 

(347쪽)

이 좁디좁은 조선 땅에 태어난 것도, 여자로 태어난 처량함도, 남편을 만나게 된 것도, 원망하고 서러워했던 걸 부인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이제 아닙니다.

조선 땅에 태어남도, 여자로 태어남도, 김성립을 낭군으로 맞이한 것도 제게 주어진 운명이겠지요.

그 운명에 따르지 못하고 어긋나고 삐거덕댄 것은 지나친 애착과 미련이 더께 끼어서 그랬던 것이겠지요.

그걸 훌훌 털어내니 한결 세상이 밝아지고 홀가분해졌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