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에게 갔었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냈어야,라고 아버지가 말했다.

용케도 너희들 덕분에 살아냈어야,라고. (416쪽)

 

 

책을 읽으면서 먹먹함에 눈물이 흘렀다.

언젠가 느꼈던 아버지의 뒷모습, 쳐진 어깨가 떠올랐다.

 

신경숙 작가님을 처음 알게된 건 스무살 무렵 '깊은 슬픔'을 읽었을 때였다.

스토리를 떠나 문장 자체에 슬픔이 어려 있다는 느낌을 받았고, 그 뒤 작가님의 문장을 꾸준히 읽었다.

이번 소설 역시 조용하면서도 어딘지 처연한 느낌이 드는 문장들로 아버지의 순탄치 않았던 인생을 말해준다.

 

-

어린 딸을 가슴에 묻어야 했던 '헌'은 오랜만에 아버지가 있는 고향으로 향한다.

서울의 큰 병원으로 간 어머니가 없는 빈 집에서 아버지는 울고 있었다.

그동안 자신 안의 슬픔에 빠져 가족에게 무신경했던 헌은 몹시도 쇠약해진, 눈물이 많아진,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아버지를 보는 것이 안타깝다.

헌은 아버지가 외출을 한 어느날 어린시절 아버지가 사용했던 나무 궤짝을 찾아내고, 그 안에 들어있는 아버지와 오빠의 편지를 발견하고 읽는다.

편지 속에는 자신이 몰랐던 아버지의 이야기가 들어 있었다.

 

-

나이가 들어서인지, '아버지'라는 단어만으로도 마음이 들썩여진다.

하지만 소설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아버지'는 그냥 '아버지'였다. 아버지도 우리와 같은 젊은 날이 있었을 텐데, 어쩌면 태어난 순간부터 우리에게는 그저 '아버지'였다.

 

어렸을 적 언젠가 아버지의 젊은 시절 사진을 보고 놀랐던 기억이 난다. 장발에 나팔바지를 입은 사진 속 아버지의 모습이 낯설고도 신기했었다.

그런 패기넘치고 열정 가득한 젊은 시절의 어느 순간에 '아버지'라는 이름을 달게 된 아버지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

소설 속 아버지는 보통의 아버지들이 가진 여러 모습들이 모두 들어있었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장남으로 살아냈어야 했고, 한국전쟁을 겪고, 4.19 혁명 속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을 목격했다.

어린 나이에 결혼을 하고 자식들을 여럿 낳았지만 형편은 좋지 않아 아이들을 먹여 살릴 걱정이 늘 앞선다. 넉넉치 않은 형편 속에서도 아이들을 공부시키기 위해 고생하고, 아이들 한명 한명에게 애정을 쏟는다.

자식들에게는 무엇이든 뚝딱 만들어주고, 무엇이든 뚝딱 해 내는 멋진 아버지였다.

젊은 시절 서울에서 알게 된 여대생과 사랑에 빠졌지만, 결국은 가족들에게 돌아온다.

 

-

책을 읽는 독자들은 소설 속 아버지의 모습에서,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리지 않았을까?

 

소설 속, 겨울밤 밥상에 둘러앉아 아버지가 김에 싸준 밥을 받아먹으며 행복을 느꼈다는 대목을 보며, 어린 시절 아버지가 종종 사 오신 종이에 싸진 통닭이 떠올랐다.

그 대목에서 아버지는 헌에게 말한다. 헌이 행복을 느꼈던 그 순간들이 아버지는 무서웠다고. 젊은 날에 자신만 바라보며 음식을 먹던 아이들을 보니 무서웠다고 말이다.

우리 아버지도 그랬을까? 가만히 생각해 본다.

 

점점 쇠약해져 가는 소설 속 아버지의 모습에서, 또 아버지의 모습이 겹친다.

젊은 시절 고생을 많이 하셔서인지, 연세가 드신 후엔 허리며 다리며 자주 아프셔서 몇차레 수술도 받으셨다.

지금 편찮으신 것이 다 자식인 우리 탓인 것만 같아 늘 죄송스런 마음이 든다.

 

소설 속 아버지처럼, 아버지가 겪어 낸 젊은 시절의 그 고된 고생들은 다 자식들인 우리를 위해서였을 거다.

남들보다 부족하지 않게 입히고 먹이고 공부시키려는 아버지의 의지 말이다.

 

-

소설을 읽었는데, 소설의 내용보다 내 이야기가 더 많은 것 같은 느낌이다.

이런 소설들이 있다. 소설 속 문장 문장마다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그런 소설 말이다.

 

오랜만에 만난 신경숙 작가님의 문장이 그대로인 것 같아서, 문장들 하나하나가 가슴을 툭툭 치는 것 같아 좋았다.

더욱이 '아버지'에 대해 많이 생각할 수 있었던 소설이라 그 여운이 더 짙게 남는다.

자식들 때문에 용케도 살아냈다는 익명의 아버지들, 그리고 나의 아버지...

소설 속 셋째 아들처럼, 부모님께 자주 연락드려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삶에는 기습이 있다.

...

살아가는 시간 속엔 기습이 있지.

기습으로만 이루어진 인생도 있어.

왜 이런 일이 내게 생기나 하늘에다 대고 땅에다 대고 가슴을 뜯어 보이며 막말로 외치고 싶은데 말문이 막혀 한마디도 내뱉을 수도 없는...

그래도 살아내는 게 인간 아닌가.​ (323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