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 와인에 빠져들다
로저 스크루턴 지음, 류점석 옮김 / 아우라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인은 유혹이며 일상이다.인류역사 이래 특별한 자리를 지키며 프랑스인들에게는 그들의 삶의 전부이자 일부인 와인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이방을 사는 내게는 무리였는지 모른다.

와인이란 것이 그저 평범한 과실주 이상의 의미임을 익히 알고는 있었지만,무수한 철학자들에게까지 그들 각자에게 다양한 컬러와 향으로 다가온 것인지는 미처 몰랐던 것 같다.

결혼 전 처음으로 유럽에 배낭여행을 떠났을 무렵,보르도 지역만큼이나 와인생산지로 유명했던 부르고뉴 지역을 단기간 탐방한 적이 있었다.그런데 와인이 아닌 향수공장을 체험하는 일정이었다.와인으로 유명한 지역에서 느껴보는 향수 또한 내겐 잊을 수 없는 독특한 기억으로 남았다.

와인을 다루는 소믈리에이건 향수를 다루는 조향사이건 그들에게 있어 향기는 필연적 선택이며 중요한 일상인 것이기에 말이다.와인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몇가지 있다.먼저 와인과 잘 어울리는 단짝인 치즈와,또 프랑스인의 민간특효약이기도 한 사랑의 음료 뱅쇼(vin chaud)가 그것이다.그런데 이 책에서는 철학하듯 와인을 접하는 방법을 익히게 함이 아니라 어려운 학문 중 하나인 철학을  하는 철학자들에게도 와인은 친구같고 연인같으며 생활이며 또 그들만의 삶 그 자체임을 지극히 섬세하고 전문적으로 안내하고 있다.그래서일까 와인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나로서는 다소 난해하고 또한 조심스러운 경전같은 느낌도 져버릴 수 없었다.

각장별로 정리된 와인에 대한 바이블 같다는 느낌도 들기 시작했다.무엇보다도 인상에 남는 내용이라면,감각과 미학을 함께 공유한 와인의 세계는 참으로 신비로운 것이며,환각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다시 미학적 작용으로 승화될 수 있다는 유익한 사실이라는 점이다.

와인을 사랑하고 연구해온 저자만큼 와인을 이해하려먼 갈 길이 멀다.그럼에도 와인은 분명 한번쯤 우리의 감각과 감성의 한복판을 건드리기에 충분하고도 남을 존재일 것이라 감히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