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中庸 - 공존과 소통 그리고 인성을 세우는 진리
자사 원작, 심범섭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소통의 이야기가 여기저기에서 수없이 들리지만 실제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는 못하는 사회가 되어가는 것 같다. 소통이 이루어지기는커녕 끝없는 이념 다툼, 이익 다툼, 권력 다툼 등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런 세대에 꼭 필요한 것이 있다면 공존과 소통 그리고 인성을 세우는 진리일 것이다. 바로 중용이 그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용은 공자의 손자로 공자의 제자인 증자의 제지이기도 하다. 그가 쓴 중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역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렇기에 중용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주역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이루어진다. 요즘 들어 주변에서 주역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들어가는 글을 읽으며 이런 추세는 자연의 법칙인 천도로 인간이 살아가는 법칙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중용은 무엇이고, 중용을 공부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이란 한쪽으로 편벽되거나 치우치지 않고 넘치거나 모자람도 없는 상태이며, ()이란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중용이란 천도의 섭리를 따르는 인간에게는 중이 있는데, 이 중이 제자리를 잡도록 일상생활에서 항상 성실하게 중화를 유지하고자 실천하는 것이다. , 중용은 이론이 아니다. 중용은 실천의 학문이다.

 

중용에 나오는 이야기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얼마나 많은 실천의 이야기를 하는 지는 받아들이는 자마다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인의예지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일상생활을 꾸려 나가는 사회를 만들 수 있다면 세상은 정말 살아갈만한 곳이 될 것이다.

 

이런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래 성품인 성()을 회복해야 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덕목이 바로 인(), (), (), ()이다. 하지만 인간의 욕심이 모든 것을 그르친다. 욕심이 이기심을 만들고, 범죄를 일으키게 한다. 나 역시 그렇다. 욕심 없이 산다고 말하지만 진짜 그런가 보면 결코 그렇지 않다. 자녀 교육 하나만 보아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다른 아이보다 뒤떨어질까봐, 아니 다른 아이보다 더 잘하기를 바라는 욕심에 아이의 인성이 교육은 뒷전이 되어버리기가 일쑤다. 아이의 능력을 키우는 일도 분명히 중요하다. 하지만 인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능력은 결국 그 치우침으로 인해 올바로 설 수 없다. 치우침 없는 중용에 따라 인성과 능력이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아야 세상의 중심에 설 수 있다.

 

언뜻 이도 저도 아닌 것 같았던 중용의 참된 의미가 삶을 돌아보고 삶 가운데서 그 뜻을 펼쳐야 한다고, 실제로 행동해야 한다고, 그것이 세상의 중심, 삶의 중심, 자신의 분야에서 중심이 되는 길이라고 말한다. 중용의 길을 걷는 것, 그것이 바로 삶의 지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