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수 클리볼드 지음, 홍한별 옮김 / 반비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이 책을 읽게 된 계기

 

이 책을 당장 읽어야겠다고 결심한 것은 저자의 ABC 인터뷰 영상을 본 후였다.

 

http://blog.naver.com/banbibooks/220755255509

 

수 클리볼드. 1999년 콜럼바인 사건 가해자 딜런 클리볼드의 엄마다. 이 인터뷰에서 당시 17세였던 아들이 살았던 시간만큼 시간이 흐른 후 이 책이 나오기까지의 경위를 밝히고 있다. 사건 발생 후 얼마 되지 않아 그녀는 자신이 유방암에 걸린 것을 알았다고 한다. 살아야 할 이유가 없을 때, 차라리 죽는 것이 그 모든 상황에서 놓여나는 유일한 출구일 때, 그녀는 살아야겠다고 결심한 이유를 찾아냈다.

 

도대체 내 아이가 왜 그랬을까?”

 

이 책은 오로지 그 질문을 붙들고 살아온 17년의 기록이다.

 

내가 이 책에 끌린 가장 큰 이유는 외로움이다. 상식적인 수준의 도덕 감정을 가진 전형적인 미국 중산층의 여성이, 자신이 키운 아이가 총기 난사 살인을 저지르고 세상을 떠난 후, 어떤 삶을 살았을까.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극단적인 형태의 고립감과 고독을 어떻게 살아냈을까. 그런 호기심으로 이 책을 읽었다. 서천석 님의 추천글을 통해 내가 읽고 싶었던 유형의 텍스트일 것이라는 예감이 강해졌다.

 

이 책은 어둠이다. 어둠에 뛰어든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저자가 위험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어느 날 멀쩡한 바닥이 무너지며 갑자기 어둠 속으로 떨어졌다. 그럼에도 그는 어둠 속의 희미한 빛과 촉각에 기대어 그 어둠을 통과해나간다. 그 힘은 아이에 대한 사랑에서 나왔다. 나는 이 책에서 어떤 메시지를 읽고 싶지 않았다. 인생이란 많은 부분이 설명할 수 없기에 평소엔 살짝 가려져 있을 뿐 막막함은 본질이다. 그 막막함을 통과하는 한 인간의 모습을 보았다.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책이다.” 서천석-추천의 말 중에서

 

2. “도대체 내 아이가 왜 그랬을까?”에 대하여

 

그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그녀는 치열하고도 필사적이었다. 살기 위해 알아야했고, 알아야 살 수 있기 때문이었다. 저자는 청소년기의 우울증에서 그 대답을 찾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끝까지 가설로 남는다. ‘아이는 이제 이 세상에 없고, 그가 남긴 일기나 메모로만 짐작할 뿐이고, 그나마 그 견해를 뒷받침할만한 결정적 자료는 없다. 우울증이 원인이라면 대체 왜 언제부터 우울증에 빠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더욱 알 길이 없다


이 책은 질문의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해답을 찾는 과정, 그 오디세이의 기록이다. (이 책의 원제는 엄마의 추측 A Mother’s Reckoning’이다.) 그 여정에서 그녀는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도움을 받는다. 다음은 누군가가 이메일에 옮겨 적어 보내주었다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편지글 중 일부다.

 

가슴속에 풀리지 않는 채로 있는 것에 대해 인내심을 가지라...그 질문을 잠긴 방이나 외국어로 쓰인 책처럼 여기고 그 자체로 사랑하려고 애쓰라. 답을 찾으려고 애쓰지 말라. 그 답은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지금 주어지지 않는 것이다. 모든 것이 경험하는 게 관건이다. 지금은 그 질문을 살아야 한다. 그러다 보면 어느 먼 날에, 점차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 답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245.

 

그녀는 그 답을 경험하고 있을까? 저자는 내 아이는 아마도 우울증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라고 말하지만, 그녀 역시 자신이 찾은 것이 진실인지 확신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3. 몇 가지 단상 중 - 저주받은 자의 위로

 

책에서 받은 인상 중 가장 강렬하게 남은 것은 위로. 오이디푸스의 비극이 주는 추락을 통한 구원과 카타르시스와 유사한 경험이라고나 할까.

 

일하러 가는 내내 꿈 때문에 울었다. 꿈에서 딜런이 인형 크기의 아주 작은 아기였다. 딜런을 눕히려고 하는데 안전하게 뉘일 만한 곳이 없었다. 나는 기숙사에 있었는데 시체안치소나 납골당처럼 서랍이 줄줄이 있는 방을 찾았다. 그 방에 있는 여자들 모두 아기를 놓을 자리가 있는데, 나만 서랍에 딜런의 이름을 적어놓지 않아서 딜런을 눕힐 자리가 없었다. 딜런이 피곤해서 쉬고 싶어하는데 나는 딜런이 안전하게 쉴 자리를 마련하지 못했다. 20034월 일기” 409

 

이 대목에서 책을 덮고 한참 엉엉 울었다. ‘가해자의 엄마라는, 끝이 보이지 않는 저주 속에서 그녀에게, 그렇게 떠난 아이에게도 영영 쉴 자리는 없다. 참담하게 무너지고, 짓밟히고, 산산조각이 난 한 인간이, 구원과 평화를 찾아 방랑의 세월을 보낸 후 돌아와 손에 쥔 것을 내밀며, “이것이 내가 찾던 것이었소라고 말하지만 결국 눈에 보이는 것은 한줌의 모래.

 

저주받은 느낌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할 때, 평생 이 그 끔직한 감정을 숙명처럼 안고 살아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 때, 그럴 때는 그 어떤 것도 위로가 되지 않는다. 이 책이 내게 준 독특한 위로는 저주 이후의 삶에서 참담과 공허 그 사이 어디에서 경험되는 것인 듯하다.

 

두고두고 곱씹으며 꺼내어 읽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