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례한 자들의 크리스마스 - 미국 복음주의를 모방한 한국 기독교 보수주의, 그 역사와 정치적 욕망
김진호.최형묵.백찬홍 지음 / 평사리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신학자, 기독교 시민사회운동가 등이 공동 저술한 이 책은 복음주의를 모방한 한국 기독교 보수주의, 그 역사와 정치적 욕망”(부제)을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조명한다. “철저하게 사회적 약자 편에 섰던 2천 년 전의 예수의 사상과는 달리, 지금 한국의 교회가 부와 권력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 저자들의 문제의식.

 

이 책은 한국 기독교 보수주의라고 지칭되는 헤게모니 집단이 왜 지금처럼 무례하고 배타적인양태를 보이고 있는지 그 역사적 기원을 추적하고 분석한다. 이 책에서 한국 기독교가 권력을 향한 욕망을 추구하게 된 경로는 일본의 식민 지배, 한국 전쟁, 유신 체제로 이어지는 한국 근현대사 속에 배치되어 있다. 한국 기독교 보수화의 본질은 권력을 향한 신앙, 성장주의, 배타적 도덕주의인데, 그것은 억압적 정치 체제가 사람들에게 남긴 배제, 차별, 폭력의 경험과 같은 한국인의 집단적 내상, 그에 대한 일종의 대응 기제로 분석된다.

 

이 책이 나왔던 2007년은 대형 교회 목사들이 온갖 망언들을 연이어 쏟아냈고, 동시에 기독교 내 헤게모니 집단의 정치 행보가 본격화되던 시점이었다. 또한 노동 현장에서는 기독교 이념을 기업 정신으로 표방한 기업이 노동자를 착취해서 부를 축적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었다. 종교는 물론 예술, 정치도 돈과 권력을 추구하는 세상. 한국 사회가 어쩌다 이 지경에 이르렀는가? 그 물음의 해답을 찾다보면 결국 배제, 차별, 폭력의 경험에 닿게 된다. 식민 지배 이후 유난히 부침이 많았던 역사적 상황은 한국인에게 일종의 운명적 덫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권력에 대한 욕망으로 가득한 지옥.

 

인간이 소수자로서 경험을 제대로 직면하지 못한 채, 앞만 바라보고 달려갈 때,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세상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읽고 한국 기독교에 대한 불신은 사라지지 않았지만, 종교로서 기독교에 대한 편견은 오히려 해소되었다. 철저하게 사회적 약자의 편에 섰던 예수의 마음을 담은 사람들이 점점 많아졌으면 좋겠다. 약한 존재에게 사랑과 연민을 보여줄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은 곳, 그곳이 살만한 세상일 테니 말이다.

 

동성애 혐오동맹과 교회부채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2&aid=0002707554

 

나는 이분의 글을 참 좋아한다. 이분의 글을 처음 접한 것이 이 책 [무례한 자들의 크리스마스(2007)이었다. 칼럼을 읽고 이 책을 다시 보니, 절판된 모양이다. 아쉽다.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