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내에 대하여
라이오넬 슈라이버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내 아내에 관하여

 

미국의 평범한 중산층 가정에서 아내가 갑자기 암에 걸리면서 재정, 인간관계, 직장 등 총체적 위기를 거듭하다가 몰락 직전에 미국 사회에서 탈출하여 늘 꿈꾸어왔던 두 번째 삶을 실현하는 이야기. 주인공 셰퍼드는 지극히 모범적인 가장으로서 미국의 중산층 가정(domesticity)의 이상에 가장 근접한 인물. 50평생을 반듯하게, 늘 사회가 요구하는 각종 규범에 자신을 철저히 동화시키며 살아왔고, 아내가 중병에 걸리자 직장과 가사를 병행하면서 헌신적으로 돌본다. 게다가 철딱서니 없고 이기적인 여동생, 활동성을 거의 상실한 늙은 아버지까지도 책임지고 있다. 그는 가족 안에서는 좋은 아빠, 남편, 오빠, 아들이며, 직장에서는 좋은 선배다. 그의 세계는 온통 자신이 돌봐야하는 사람들로 이뤄져있다. 처음에는 미치지 않고서 이렇게 사는 게 가능할까 싶을 정도로 매사에 헌신적이고, 만인의 봉인 주인공의 호구 캐릭터가 답답했으나, 곧 이 캐릭터 설정에 내재된 작가의 의도를 눈치 챘음

 

작가의 전작 캐빈에 관하여에서 범생이캐릭터(캐빈의 아버지)는 그러한 기질과 무관하지 않은 무지로 인해 다가오는 비극을 끝까지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 이 책은 미국 사회에서 평생을 모범적인 시민으로 살아온 사람이 가족의 발병을 계기로 위반과 탈출을 감행하게 되는 과정을 아주 재미있게 보여준다. 주인공의 범생이기질은 그러한 극적인 전환이 주는 극적 짜릿함의 묘미를 살려주는 요소

 

라이오넬 슈라이버, 이 시니컬한 작가의 독특한 매력은 서사적 구성과 문장 스타일. 흥미롭게도 총 19개로 구성된 각 장의 시작은 주인공의 현금 보유액수다. 첫 장에서 7억이었던 그의 자산은 암에 걸린 아내의 치료가 시작된 지 1년 만에 350만원(17)으로 줄어든다. 그의 처지는 적어도 그의 친구 잭슨보다는 낫다. 희귀병에 걸린 딸을 둔 셰퍼드의 직장 동료인 잭슨은 외관상 중산층의 삶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 오래 전에 빚더미에 올라앉아있다. 이 책은 200412월에서 20062, 13개월 간 불치병 환자가 있는 셰퍼드 및 잭슨 가족의 투병기에 초점을 맞추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치료 보다는 의료 시장의 돈벌이를 목적으로 설계된 미국 의료 제도가 중산층의 삶을 어떻게 망가뜨리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책을 읽고나면, 아직 걸리지도 않은 질병이나 위기를 걱정하며 보험 회사에 돈을 자발적으로 가져다 바치며 현재의 행복을 유예하게 되는 의료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이 각성된다. 그리고 가족이 중병에 걸리더라도 파산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나라, 국가가 국민의 자산 가치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나라, 그런 나라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주인공 셰퍼드처럼 살아온 터전을 도망치듯이 버리고 제3세계로 망명하지 않고 그것이 가능할까

 

충분한 취재 자료를 바탕으로, 미국의 의료 제도를 까려고 작정하고 쓴 책인 듯. 이 성깔 있는 작가의 문장에는 냉정한 분노가 담겨있다. 어디 가져다 써보고 싶을 정도로 짜릿하고 통쾌한 문장들이 독자를 몰입시키는 힘이 있다

 

사족. 라이오넬 슈라이버의 책을 아마도 RHK에서 독점 계약한 듯. 케빈에 관하여는 번역 때문에 짜증을 견디면서 정말 오기로 끝까지 읽었더랬다. 이번 책은 그나마 번역이 괜찮아서 장장 63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을 그럭저럭 읽을 만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