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흘리며 살아가는(재 일본의 일상)이라는 제목의 이 다큐는 일본에서 살아가는 외국인들의 삶을 다룬 시리즈물 중 하나처음부터 나레이터는 눈물 닦을 준비를 하라고 일러둔다.

 

1966년 문화대혁명, 꽃다운 나이에 중국의 변방으로 하방을 갔던 수많은 젊은이들 중 하나였던 남자 주인공은 거기서 연인을 만나 결혼을 했고, 딸을 두었다.

 

일본에서 촬영된 이 영상은 1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이 사람의 삶을 따라가며 보여준다. 영상은 2000년대 중후반의 어느 시점에서 시작되는데, 이 때 남자는 일본, 아내는 상해, 딸은 뉴욕에서 살고 있다. 남자는 온갖 직업을 거치면서 재일 외국인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고, 아내는 상해의 어느 공장에서 일하고 있고, 딸은 뉴욕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다.

 

남자는 어린 딸과 아내를 상해에 남겨두고 35세에 일본으로 건너와 청소, 식당, 공장 등 직업을 바꿔가면서 7년이라는 세월이 흘러 42세가 되었다. 그간 한 번도 아내와 딸을 만나지 못했다. 하방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한 그는 딸이 자신의 꿈을 이루길 바란다. 그리고 딸이 의사가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는 것이 자신의 역할이라고 믿는다. 자정이 넘어야 집에 들어가고 샤워 공간조차 없는 비좁은 자신의 집에서 주방에 비닐을 막아 만든 샤워공간에서 겨우 자신의 몸을 씻고 잠시 몸을 뉘인 뒤 날이 밝기 전에 출근한다. 하루에 2가지 일을 하면서, 끼니만 면할 정도로 검소한 도시락으로 지극히 아끼고 아끼며 살아간다.

 

일본의 제작진은 이런 그의 모습을 영상에 담아 상해에 있는 아내와 딸에게 보여준다. 고등학생이 된 딸과 이제 중년이 된 아내는 놀라움과 먹먹함이 뒤섞인 채 눈물을 흘리며 영상 속 남자를 바라본다. 남자가 딸, 그리고 아내를 차례차례 만나게 된 건 그 후로도 몇 년의 시간이 흘러서다. 딸은 뉴욕 주립대 의대에 합격했고, 유학을 가는 길에 남자가 살고 있는 도쿄에 잠시 머무른다. 그리고 아내는 그 후로 몇 년 후 뉴욕에 있는 딸을 만나러 가는 길에 역시 도쿄에 3-4일 머무른다. 아내와는 무려 15년 만에 만난 것이다. 남자가 일본으로 떠날 때 30대였던 부부는 이제 50을 넘긴 중년이 되어 있었다. 일본에서 남자의 고단한 삶은 그의 몸에 흔적을 남겼다. 50을 갓 넘긴 나이에 이빨이 여러 개 빠져버린 것이다.

 

이 영상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이들이 지하철에서 이별하는 장면이다. 딸과 아내는 각각 똑같은 방식으로 남자와 작별한다. 지하철에서 나란히 앉아있는 남자와 딸, 남자와 아내. 같은 공간에 앉아있지만 남자는 일터로, , 그리고 아내는 뉴욕 행 공항으로 향하고 있다. 남자는 먼저 내려야 한다. 남자가 내려야 할 정거장이 가까워지자 아버지와 딸, 남편과 아내는 대화가 없어지고 서로 마주보지 못한다. 그들의 시선은 정면을 향한 채, 눈물만 흘린 뿐이다. 남자가 먼저 내리고 난 후, 지하철 문이 닫히는 순간에도 딸은, 그리고 아내는 감히 뒤돌아보지 못한다. , 그리고 아내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남자의 표정은 뭐라고 표현할 수 없는 먹먹한 느낌을 준다. 딸이 의사가 된 후, 비로소 남자는 상해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 자신의 역할을 다 완수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상해의 아내는 이빨이 빠진 남편을 위해 식사를 준비하고 남편을 맞이한다.

 

차마 서로 마주 볼 수 없는 이별의 순간이 얼마나 가슴 아픈 것인지 이 다큐를 보고 비로소 알게 됐다. 두고두고 오래 기억에 남을 휴먼 다큐이다.

 

영상을 볼 수 있는 곳. 중국 어플리케이션 PPS의 메뉴에서 다큐멘터리(기록물)로 들어가서 평가 항목으로 분류하면, 가장 평가가 높은 영상을 찾으면 됨. 다큐 제목은 재 일본의 일상이고, 그 중에서 이 에피소드는 눈물을 흘리며 살아가는이라는 제목으로 총 4편으로 구성돼 있다. 나레이션은 일본어로 되어 있고, 중국어 자막이 붙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