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쇼크 - 고령화, 쇼크인가 축복인가
테드 피시먼 지음, 안세민 옮김 / 반비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고령화 풍경을 생생하게 보여주면서, 서로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문제나 현상들이 어떻게 ‘고령화’라는 하나의 거대한 흐름과 관련되어 있는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런데, 500페이지에 가까운 이 책을 읽다보면 책장을 넘길수록 살아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시나브로 쌓인다. 저널리스트가 쓴 베스트셀러 중 ‘쇼크’라는 제목이 붙은 책들이 더러 있는데, 이 책이 안겨주는 ‘쇼크’는 좀 남다르다. 책에서 보여주는 고령화의 풍경들이 우리의 현재이자 미래이기 때문이다.

p. 408-9. 그는 중국인들이 노인을 보살피는 것은 수세기에 걸쳐 내려오는 문화와 전통의 한 부분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때, 그들은 평균수명이 겨우 35세였을 때 그러한 전통이 지켜졌다는 사실을 잊어버린다고 지적했다. 과거에는 효도하는 자식들의 부담이 훨씬 가벼웠다. 부모가 병에 걸리면 그 병은 오래가지 않았다. 부모는 현대의학과 공중보건이 발달하기 전에 살았던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건강하게 잘 지내다가, 아팠다가 금방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p. 462. (노동자들이 자살한) 폭스콘 사태는 젊은이들의 실업률이 크게 높아져서 임금이 하락하고 있는데다 연금 혜택을 받는 노동자들이 생산라인과 사무실에서 밀려나는 시점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울림이 컸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이 사태는 가깝고도 먼 관계인 젊은이들과 노인들의 운명이 한편으로는 얽혀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잔혹하게 대립하는 곳에서 세대 간 이해관계의 적나라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계적 고령화 추세 속에서도 그 속도가 가장 빠른 한국 사회에 이 책이 시사하는 바가 더욱 크다. 젊음에 대한 강박과 동경에 사로잡혀 있는 사회는 ‘노인들의 나라’로의 급속한 전환에 대한 인식과 대비가 결핍되기 쉽다. 세계화, 이민, 노동쟁의, 금융위기, ‘효’의 가치를 고령화라는 이슈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설명한 부분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고령화는 이제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의제가 될 수밖에 없다. 고령화 사회를 어떻게 읽어내고, 당면한 딜레마와 다양한 갈등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바야흐로 그것이야말로 정치인의 역량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