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큰누나 일순이> 서평단 알림
큰누나 일순이 파랑새 사과문고 48
이은강 지음, 이혜원 그림 / 파랑새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서평단 도서입니다)

제목만으로 어떤 내용일지 짐작은 했던 책이다. 겉표지에 그려진 그림도 어린아이 8명이 내리는  비를 보면서 앉아있는 모습이기에 내용도 짐작할 수 있었다. 어떤 내용인지 짐작을 했음에 도 읽은 중간부분에서부터 눈물이 고이기 시작했고, 끝부분에 가서는 깊은 한숨이 새어 나왔다.

맏이이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도 해야 하고, 자신의 꿈도 포기해야 했고, 어린 동생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대학공부까지 시켜야 하는 맏이들의 애한을 담고 있는 책이다. 부모님이 폐병으로 모두 돌아가시고, 동생들 뒷바라지에 어린 일순이는 허리한번 제대로 펴지 못하고, 아파도 아프다는 말한번 못하고, 중학교를 가고 싶어도 가야겠다고 동생들한테 당당히 말한번 제대로 하지 못하고 산 큰 누나, 큰 언니 일순이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슴 아팠던 장면이 있다. 첫번째는, 중학교에는 갈수가 없으니까 선생님께서 시험을 잘 보면 영한사전을 선물로 주겠다는 얘기에 공부를 열심히해서 영한사전을 손에 넣은 일순이. 공부를 할 수 없으니 영한사전만 있으면 영어공부를 할 수 있다는 희망으로 누구에게고 당당했던 일순이의 모습이었다. 두번째는, 학교에 가려고 어린 동생을 모질게 떼어내고 갔는데, 그 날밤 열이나고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해 죽어버렸던 그 장면은 읽으면서도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가 죽였다는 죄책감에 일순이의 일생중 가장 힘들었던 시간이 아니였을까 싶다. 세번째는, 마지막 부분이다. 너무도 허망하게 죽어버린 일순이의 소식이 읽고 있는 나에게도 허망함을 주었다.

어려서 너무 많은 고생을 했으니까 성인이 되었을때는 좀더 괜찮은 모습으로 있었어야 했을 일순이는 동생들 뒷바라지에 끝까지 허리한번 펴지 못하고 과로로 세상과도 이별을 해야 했던 큰 누나 일순이다. 요즘 어느 맏이가 이러고 살 수 있을까? 드라마에서나 가끔 볼 수 있는 내용이 아닌가 싶다. 

이 책에는 일순이와 동생들의 사랑도 담겨져 있고, 일순이의 어릴적 소중한 추억도 담겨져 있으며, 일순이와 친구와의 우정도 담겨져 있다. 요즘 자기 밖에 모르고 살고 있는 아이들에게 일순이의 이야기가 얼마만큼 감동을 줄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으면서 형제간의 우애는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지금도, 어딘가에 일순이처럼 사는 큰 누나, 큰 언니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만약 이 세상에 일순이처럼 살고 있는 살아야만 하는 분들이 있다면 건강하게, 그리고 꼭 행복해질 수 있기를 기도하고 싶다. 그분들을 위하여 파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를 피할 때는 미끄럼틀 아래서 보림문학선 4
오카다 준 지음, 박종진 옮김, 이세 히데코 그림 / 보림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예순 살 쯤 된 아마모리 씨 이야기는 책 처음부터 왜 나올까? 그리고 아마모리 씨는 아이들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궁금증을 가지면서 책장을 넘겼다.

커다란 미끄럼틀 밑에 아이들만의 공간이 있다는 것도 추억을 상상할 수 있게 했던 곳이다. 어린 시절 동네 놀이터에는 전쟁이 났을 경우(?) 대피하는 장소라고 알고 있던 곳이 있었다. 그곳에서 나도 친구들과 놀았던 기억이 있는데, 책속의 아이들에게도 미끄럼틀 아래의 공간은 이야기가 있고, 정이 있는 우리들만의 아지트인가 보다.

한사람 한사람 아마모리 씨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때마다 나의 궁금증은 더해 갔다. 정말 아이들 말대로 마법사일까? 왜 자신이 한 일임에도 아니라고 할까? 칭찬 받는 것이 싫어서 그랬다는 말도 아이들이 이해를 할 수 없었듯이 나또한 이해를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바다를 보았다는 아이의 말에 다른 아이들이 의문을 가졌듯이 나또한 정말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반문을 하고, 궁금증이 더해 급하게 책장을 넘겼던 책이다.

아이들이 모두 모른척 했지만 아마모리 씨에 대해서 나쁜 마음을 가진 아이는 하나도 없었다.
이야기들을 하면서 어느 아이 하나 나쁜 사람이라고 말한 아이들은 없었다. 이래서 아이들의 마음은 순수하다고 하는 것 같다. 아이들이지만 사람의 겉모습을 보고 판단을 하지 않았고, 그 사람의 속마음을 모두 보았다는 느낌을 받은 책.

점점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지금의 시대에 어른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책이기도 하다.
이사를 간다는 아마모리 씨를 위해 아이들이 준비한 선물은 따뜻한 마음이 가득한 선물이었다.
요즘처럼 개인주의, 이기주의 만이 우선시 되는 사회에서 아이들의 따뜻한 마음이 나에게까지 전달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를 위한 배려 - 어린이 자기계발 동화 01, 엄마와 아이가 함께 감동한 베스트셀러 <배려>의 아동판 어린이 자기계발동화 30
한상복 원작, 전지은 글, 김성신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만 보고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이기에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의 주인공 예나는 자신감에 가득 차 있는 아이다.

1학년 때부터 회장, 부회장을 놓친 적이 없었고, 6학년이 된 지금에도 당연히 자신이 회장이 될 것이라 생각을 하고 있다.

회장선거를 하는 날, 예나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이 벌어졌다. 회장선거에서 떨어진 것이다. 늘 자심감이 가득했던 예나는 자존심이 많이 상했고, 그런 예나에게 선생님은 바른생활부장이라는 직책을 맡기신다. 학교에서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던 바른생활부였다. 예나는 바른생활부에서 활동을 하면서 친구들을 조금씩 이해하고 되었고, 나의 입장 보다는 친구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는 아이가 되었다.

 

하지만 이런 예나에게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엄마와의 관계였다. 언제나 엄마는 바빴고, 본인에게는 관심이 없다고 생각을 했다. 아빠는 말씀을 하신다. “친구의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는 건 어렵지 않아. 내 마음만 조금 바꾸면 되거든. 그렇지만 정작 가장 가까운 가족의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는 걸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꽤 많단다. 엄마의 입장을 한 번 헤아려 주지 않겠냐고“ 아빠의 말씀에 예나는 점점 엄마의 입장을 생각해 보고, 엄마를 이해하는 아이로 변하게 된다.

 

내 마음만 조금 바꾸면 되는 것이 배려인 것일까?
사전에는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려고 마음을 쓰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요즘 내가 아이들을 키우면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부분도 배려심이라는 것이다.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없다면 공부를 잘해도 소용없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면 나는 얼마나 배려를 하고 살고 있는가? 예나 아빠의 말처럼 친구를 배려하는 것은 쉬운 일일까? 어른이 된 지금 나에게는 어떻게 생각을 해보면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것은 쉬운 일일지도 모른다. 상대방은 그럴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면 이해되는 부분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나의 가족을 배려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너무 가까운 사람들이기에 내가 주는 상처도 괜찮을 것이라 생각을 하고, 버릴 수 없는 나의 욕심 때문에 더 많은 배려를 하지 못하고 살고 있는 듯 하다.


남편에게도 나의 입장을 먼저 생각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고, 아이들은 내가 원하는 대로만 쫓아오길 바라고 살고 있다. 남편이나 아이들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 주지 못하고 살고 있는 것, 이것은 나에게 배려가 부족해서 일 것이다.

이 책은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 이였지만, 읽으면서 가족에 대한 나의 배려에 대해 생각해 보고 반성하게 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렁코 하영이 사계절 저학년문고 16
조성자 글, 신가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다른 사람을 처음 보거나, 혹은 그 사람에 대해 안 좋은 소문을 듣는다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선입견부터 가지게 된다.

하영이도 이사 가는 집의 할머니에게 무서운 첫인상을 받았고, 친구들에게서 ‘고양이 할머니’라는 소문을 듣고 점점 할머니에 대해 안 좋게 생각을 한다.
할머니가 왜 고양이 할머니가 되었는지 알게 되면서부터 하영이는 할머니에게 조금씩 마음을 열어 주었고, 할머니도 하영이가 친구들 앞에서 ‘우리 할머니 고양이 할머니 아니야! 잃어버린 딸 생각에 매일 밤마다 울어서 그래“라고 하는 말을 듣고는 다른 사람들과 아이들에게 그동안 마음을 굳게 닫고 살던 그 문을 조금씩 열어가는 할머니의 모습이 그려진 책이다.

나는 타인에 대해 얼마나 많은 선입견을 가지고 살고 있는지? 마음을 다치면 쉽게 상처를 치유하지 못하는 내 모습이 할머니의 모습과 같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하게 해 준 책이다.

‘벌렁코 하영이’는 선입견에 대해 알려주기도 하지만, 가족의 사랑을 알려주는 책이기도 하다.    교통사고로 병원에 누워 계신 아빠를 위해 기도하고 병문안을 가지 못해서 편지로 아빠와 얘기를 하는 예쁜 딸 하영이.

나의 아이들에게 아빠는 어떤 모습으로 비추어지고 있는지 궁금해지기도 했다.                        책의 하영이처럼 나의 큰 아이도 아빠의 냄새가 좋아서 아빠 품에서 자는 것을 좋아한다. 지금 나의 아이들도 아낌없이 주는 아빠의 사랑을 느끼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