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방인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6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방인 #알베르카뮈
-
언뜻 불편한 장면이 있었던 것은 어떤 면에서는 내가 뫼르소처럼 이방인이었던 적도, 혹은 누군가를 이방인으로 만들어버린 적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
-
그 공간의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이방인으로 비껴나는 삶. 가정에서 직장에서 혹은 삶이라는 가장 큰 무대에서. 그 무엇에도 무관심하고 이방인처럼 방관하며 서있는 이 인물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
-
˝여기서 정면으로 공격받고 있는 대상은 윤리가 아니라 재판의 세계입니다. 재판의 세계란 부르주아이기도 하고 나치이기도 하고 공산주의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 시대의 모든 암들입니다. 뫼르소로 말하자면 그에게는 긍정적인 그 무엇이 있습니다. 그것은 죽는 한이 있더라도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거부의 자세입니다. 만약 당신이 이 책을 이러한 측면에서 해석해본다면 거기서 어떤 정직성의 모럴을, 그리고 이 세상을 사는 기쁨에 대한 해학적이면서도 비극적인 찬양을 발견할 것입니다.˝
-
카뮈는 정면으로 공격받고 있는 대상이 재판의 세계라고 했고 뫼르소를 통해 정직성의 모럴을 볼 수 있다고 했지만 정직성이야말로,
뭐가 그리 대단하다는 건가.
-
삶에 무관심하고 부조리에 반항하지 않으며 단두대를 향해 걸어가야한다면 정직이 무슨 소용일까. 제도가 이방인을 벼랑 끝으로 몰아낸다면 뭐가 잘못된 것일까? 부조리한 재판과 무관심과 무기력을 종용하는 사회. 대체 무엇이 부조리일까? 무엇을 먼저 주장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