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를 미워해도 괜찮습니다 - 살면서 한 번은 읽어야 할 부모와의 관계 정리 수업
가와시마 다카아키 지음, 이정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가와시마 다카아키는 일본의 대표적인 심리 상담사로, 부모와의 관계에서 고통받는 내담자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해왔습니다.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부모 자녀 관계의 문제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경계선 설정과 관계 회복의 중요성을 설파합니다. 동아시아에서는 유교적 전통이 부모를 신성시하고 자녀의 효를 강조합니다. 이는 부모와 자녀 간 관계의 건강한 거리두기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부모가 자녀를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감정적으로 억압할 때, 이는 심리적 가스라이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녀는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고 부모의 기대에 휘둘리는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가와시마 다카아키는 이 책을 통해 자녀들이 부모와의 얽힌 관계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도록 돕고자 했습니다. 유교적 문화권에서는 부모를 미워하는 감정을 터놓기조차 어렵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부모를 미워하거나 거리를 두는 것이 자신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임을 설득력 있게 이야기합니다.


📌“자녀를 키우는 것은 희생이 아니라 선택”

부모의 행위와 자녀의 권리를 명확히 구분하며, 자녀는 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킬 의무가 없다는 점을 저자는 강조합니다. 이는 자녀들에게 내재된 죄책감에서 벗어나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입니다. 부모와 자녀 관계가 무조건적인 사랑과 헌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전통적인 관념에 반기를 들며, 상처를 주고받는 관계라면 부모와도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부모의 가스라이팅이나 통제는 자녀에게 영구적인 상처를 남길 수 있습니다.


📌“부모의 삶에서 일어난 일의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저자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도 ‘경계선’이 필요하며, 그 경계선을 넘는 행동이 자녀에게 고통을 준다면 부모 역시 비판받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자녀가 무조건 부모를 사랑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관념을 과감히 깨뜨리는 대담한 시각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강요하는 통제와 기대는 자녀가 성장한 이후에도 삶을 얽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계선을 제안합니다.

▪️가치관 경계선: 부모의 가치관과 자녀의 가치관은 다르며,
다를 수밖에 없다.
▪️감정 경계선: 부모가 느끼는 감정은 자녀가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책임 경계선: 부모의 선택과 인생은 부모의 책임이며, 자녀가 짊어져야 할 짐이 아니다.

이 세 가지 경계선은 자녀가 부모와 감정적으로 건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됩니다.

또한 책은 독립의 과정이 단순히 물리적 거리 두기에 그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부모가 주입한 잘못된 사고방식을 파헤치고, 내재된 죄책감과 의무감을 내려놓으며, 자신의 감정을 직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가령, 부모의 감정에 지나치게 신경 쓰며 자신의 결정을 미뤄왔던 사람이 “부모의 기대를 거절하는 법”을 배워 나가는 이야기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당신이 부모에게서 거리를 두는 것은 부모의 불안과 고통을 잠재우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 책은 부모와의 거리 두기가 자녀의 독립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말해줍니다. 부모의 집착은 종종 자신의 불안에서 비롯되며, 자녀가 그들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비로소 부모도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이는 자녀와 부모 모두에게 궁극적으로 치유와 평화를 가져다줄 수 있는 관점입니다.

책을 읽는 내내 두 가지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부모를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는 내 자녀에게 어떤 부모로 기억되고 싶은가? 자녀에게 자유를 줄 수 있는 건강한 부모가 되기 위해 나는 무엇을 변화해야 할까? 책은 부모-자녀 관계의 이면을 되돌아보게 함과 동시에 부모의 입장에서 자신을 성찰할 기회를 줍니다.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는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그려볼 수 있게 만드는 점에서 이 책은 특별하게 다가왔습니다.

📌“당신이 냉정한 사람이 아니라서 부모를 미워하는 게 아니다. 부모가 당신을 존중하지 않았기 때문에 좋아할 수 없는 게 당연하다.”

책이 가장 돋보이는 부분은 독자에게 부모에 대한 미움을 인정하고, 그것이 잘못된 감정이 아님을 일깨운다는 점입니다. 부모를 좋아할 수도 미워할 수도 없는 애매한 상태는 부모 자녀 관계에 얽힌 수많은 이들의 심정을 대변합니다. 미움은 관계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위한 중요한 신호라는 저자의 통찰은 많은 이들에게 용기를 줍니다.

📌“부모는 선택할 수 없지만, 인생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부모에 대한 미움이 곧 자신을 향한 미움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 부모를 미워하면서도 동시에 스스로를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부모와의 관계는 태어나면서 주어진 것이지만, 그것이 평생 우리의 삶을 결정지을 필요는 없음을 역설합니다. 이 책은 자녀에게 주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권리와 능력이 있음을 일깨워줍니다.

📌“자신을 존중해주지 않는 사람은 좋아할 수 없는 게 당연합니다. 부모를 미워해도 괜찮습니다.”

책을 읽으며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우리가 익숙하게 들어온 '부모는 절대적으로 존중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차분히 되짚으며, 부모의 행동이 항상 옳거나 자녀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다는 점입니다.

📌“부모의 기대와 감정을 떠안으려 하지 마세요.
그것은 당신의 몫이 아닙니다”
📌“부모가 어떠한 감정을 느꼈다면, 당신이 그 감정을 느끼게 만든 것이 아닌 부모가 만든 감정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부모와의 경계선을 긋는다는 것은 부모와 멀어지거나 감정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신을 보호하고 부모와의 관계를 보다 성숙하게 재구성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이 과정은 자녀가 부모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립적이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부모를 미워하는 사람은 냉정한 사람이 아닙니다. 그 감정은 부모의 행동으로 인해 생긴 것입니다.”

책은 부모를 미워하는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부정적인 태도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한 정상적인 감정으로 제시합니다. 특히 유교 문화권에서 부모를 미워하는 것은 도덕적 죄책감과 직결되기 쉽지만, 책은 그 죄책감을 내려놓으라고 주장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끼친 상처를 정당화하지 않고, 그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삶을 선택해야 한다는 메시지는 무겁게 다가오지만, 동시에 큰 위로와 해방감을 줍니다.

"부모를 미워해도 괜찮습니다"는 부모라는 이름의 억압에서 벗어나 자신의 인생을 찾으려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은 강력한 응원과 지침서가 됩니다. 부모라는 존재에 묶여 평생 죄책감과 억압에 시달려온 이들에게, 이 책은 부모와의 건강한 거리 두기를 통해 비로소 자신만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부모는 선택할 수 없지만, 앞으로의 삶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더 이상 죄책감에 얽매이지 않고, 진정한 자유와 독립을 향해 나아가는 첫걸음을 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