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다만, 조금 느릴 뿐이다
강세형 지음 / 김영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기 또한 재능이고 용기인 것만 같다. 사랑에 있어서도, 살아감에 있어서도.

내가 원하는 답은 아니라 하더라도 최적의 답은 어쩌면 `포기` 안에 있을지도 모르니까.

그리고 그최적의 답이 어쩌면 나도 몰랐던 `내가 원하는 답`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니까.」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들과 영원히 함께일 거라는 생각은 착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들과 영원히 연락하며 지낼 거라는 생각은 이뤄질 수 있다. 하지만,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들과 영원히 지금과 같은 관계로 함께일 거라는 생각은 착각이 맞다.」

「관찰하고, 사색하는 시간.

나는 그것을 잊고 있었다.

마음이, 너무 바빠서.」

「새로운 것에 대한 기대는,

익숙함을 벗어던질 수 있는 자만이 품을 수 있다는 걸,

이제 깨달을 때도 됐는데 말이다.」

「제가 바꿀 수 없는 것들을 인정할 수 있는 평온을 주옵시고,

제가 바꿀 수 있는 것들을 바꿀 수 있는 용기를 주옵시고,

그 둘을 분간할 수 있는 지혜를 주옵소서.」

「나는 과연, 내 자신을 감동시킬 만큼 최선을 다해본 적이 있는가.」

「지금의 나를 알고 있는 누군가와

아주 오랜 시간 후 다시 마주하게 됐을 때,

그를

실망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


☞강세형 작가의 글은 산문임에도 불구하고 시처럼 잦은 줄바꿈과 연을 구분해 짓는다. 읽을 때도 천천히 모든 쉼표를 지켜야 작가의 온전한 의도를 느낄 수 있다. 독서를 업무처럼 실적 카운트하는 나같은 이에게는 답답함을 주는 작가지만 계속 찾아 읽게 되는 이유는 내게 쉼표같은 휴식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작가의 4번째 단행본이 어서 나오기를 바랄 뿐이다. 

☞빌려보는 책에는 밑줄을 그을 수 없다. 그래서 더 꼼꼼히 읽게 되고 마음에 밑줄을 긋게 되나 보다.

☞2013년 쌤앤파커스 판, 2016년 김영사 판 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뭐라도 되겠지 - 호기심과 편애로 만드는 특별한 세상
김중혁 지음 / 마음산책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능이란, 누군가의 짐짝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나에 대한 배려없이 무작정 흐르는 시간을 견디는 법을 배운 다음에 생겨나는 것 같다. 그래, 버티다 보면 재능도 생기고, 뭐라도 되겠지.」

「결국 인생은 어떤 것을 그리고 얼마나 기분좋게 포기하는가의 문제다.」

☞지금의 내게, 그리고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 ˝뭐라도 될거야, 걱정 내려놓고 네가 원하는걸 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0-28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들마다 반응이 다르지만, 그래도 ‘마이웨이’가 짱입니다. ^^;;

머리쓰기&글쓰기 2016-10-28 17: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my way`는 많은 용기가 필요한 길인 것 같습니다~~
 
여자 없는 남자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양연화」와 「여자없는 남자들」
사랑, 상대방이 있어 완성되는 관계. 영화 `이보다 더 좋을순 없다(as good as it gets)`에 나온 대사(˝당신은 나를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게해˝)처럼.
p.s 하루끼는 이제 고작 두번째지만 읽을때마다 몸에서 힘이 빠져나가는 이 느낌은 나만의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속해보겠습니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속해보겠습니다
책읽는 내내 하찮은(작가의 표현) 이의 삶을 글로 써나가는 과정을 멈추지 않고 계속하겠다는 작가의 다짐으로 들린다.

단 한번 나온 변용된 표현 `계속하겠습니다`는 오타? 의도적 실수? 정상적 표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은 돈이다.`

내게 이 말은 `시간이 돈처럼 귀중하다`는 고상한 교훈을 주려는 말로 들리기 보다는, 실제로 `시간을 팔아 돈을 버는 삶`을 표현하는 말로 들린다.

출근안하는 주말에 째깍째깍 시간의 흐름을 수시로 들여다보는 것은 `팔지 않은 내 소유의 시간`을 소중하게 보내야한다는 강박증 탓이리라.

아무 것도 안하고 싶은 욕구와 뭐든 해야 한다는 당위가 나를 앞에 두고 휴일마다 다툰다.

주말에 쉬기 위해 평일에 일하는게 아니듯이, 평일에 일하기 위해 주말에 쉬고 싶지도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