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 Dooman Riv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는 두만강 어귀에 사는 창호라는 아이가 죽음으로 향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주인공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이야기에 대한 호불호가 엇갈리는 것 같다. 영화 속에서 그의 죽음은 지속적으로 암시되고 있지만, 그 선택과 판단이 뒤늦게 그것도 별안간 이루어지는 터라 사태를 관망하는 입장에서 어떤 생각을 할 겨를이 없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의미가 영화의 세계에서 어느 정도 수긍된다고 하더라도 인물의 세계에서 충분히 납득된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직 어린 아이에게 순교의 책임을 과도하게 요구하는 것이 아닌지 따져 묻는 어느 평자의 사려도 그러한 맥락에서 비롯되었으리라 짐작한다. 그러니까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사람들은 대체로 창호의 죽음에 대해서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인다. 그것을 어떤 확신의 단계 앞에 오는 머뭇거림이라 한다면, 그 머뭇거림은 분명 윤리의 문제에서 시작된다. 나의 윤리와 영화의 윤리가 버성길 때 우리는 잠시 판단을 유보하게 된다. 그래서 창호의 죽음에 대한 윤리적인 확신은 긍정이든 부정이든 그 누구라도 더딜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판단의 시간을 거닐던 나는 인물의 자취를 되밟으면서 이런 질문을 하고 있었다. 우리는 과연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을 행할 수 있나. 창호는 죽음을 택했다. 죽음이 불가피한 것은 모든 예술이 품고 있는 저 질문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창호의 죽음은 갈데없는 선택이다. 누군가는 여기서 콧방귀를 뀔 수도 있다. 강 건너편에 살고 있는 친구 하나 잃은 아이의 상심이라기엔 언뜻 도가 지나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창호의 충동은 순수한 마음에서 비롯된다. 어른들은 그 마음을 들여다볼 수는 있어도 결코 쓰다듬을 수는 없다. 모든 개별자의 내면에 목숨의 욕망을 앞지르는 죽음의 충동이 꿈틀거린다지만 그것을 억압하는 현실 세계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오로지 창호뿐이다. 요컨대, 충동이 수렴되는 구심점에 창호가 서 있다. 두만강의 슬픈 운명에 내몰린 사람들 ─ 원치 않는 임신으로 실의에 빠진 누나 순희, 돈을 벌러 한국에 가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창호의 엄마, 두만강을 다시 건너는 게 한평생 소원이라는 마을 할머니, 위험을 감수하고 탈북자들을 돕다가 결국 쇠고랑을 차는 동네 아저씨, 내일이 없는 듯 술만 퍼마시는 이웃 어른들 등의 고통이 그의 어깨를 조용히 짓누르고 있는 형국이다.

 

 

창호의 몰락은 슬프다. 투신의 행위가 슬픈 것이 아니라 투신의 결단이 슬프다. 창호는 지붕의 벼랑으로 한 치의 주저 없이 성큼성큼 발을 내딛으면서 얼어붙은 눈동자들이 기어이 아찔한 하향 곡선을 그리게 만든다. 적어도 그 적막의 찰나에는 창호의 몰락에 대한 어떤 맹문을 따지는 것이 무의미한 것처럼 보인다영화가 사건의 심리적인 동기만 심어 놓은 것도 그 기묘한 감정이 어떤 설득을 이룰 것이라 믿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락은 패배이지만 몰락의 선택은 패배가 아니다. 다르게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시하는 그 모든 행위로부터 영화적인 기운이 탄생한다(고 나는 믿는다). 영화 속에서 그 기운은 마침내 평소에 말을 하지 못했던 순희가 창호의 이름을 힘껏 외치는 것으로 발산된다. 아이와 어른 사이에 놓인 듯한 순희가 마지막에 내지르는 그 억색한 고함은 창호(아이)의 윤리가 영화(어른)의 윤리로 스며드는 모종의 신호일지 모른다. 이는 윤리가 발생하는 순간의 어떤 증후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영화는 현실의 거울이되 현실 자체를 담는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이 현실과의 긴장을 담고 있다.

 

몰락의 마지막 얼굴은 순희의 그림이 할머니의 소원에 포개어지는 것으로 종적을 감춘다. 우리는 영화가 문을 닫기 직전에 다리를 건너는 할머니를 보면서도 상상적 공간으로 이끈 창호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파란 하늘을 담은 강물에 파란 잠바를 입은 창호가 들이젖는다. 아마 봄이 오면 유빙처럼 그의 영혼도 어디론가 떠내려가겠지. 그렇다면 장률 감독은 그 땅의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어떤 경계에 선 인물을 줄기차게 응시했던 그가 자신의 고향을 이야기하는 것은 짐작하건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인물을 대하는 감독의 태도도 어쩐지 신중하다. 그러나 두만강의 미래를 말할 수 없다는 생각이 결국 그 땅에 살고 있는 창호의 현재를 다르게 말할 수 있었던 건 아닐까 싶다. 예술은 있었던 경험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경험을 창조하는 것이라 했던가. 그렇다면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불가능성 앞에 있는 가능성을 염원하고 가능성 뒤에 있는 불가능성을 체감하는 창호의 혼란스러운 세계에 드리운 몰락에 취해 얼마간 나는 헤어나지 못했다. 아무려나 두만강은 흐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