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명 - 전 세계 100억 인류가 만들어낼 위협과 가능성
대니 돌링 지음, 안세민 옮김 / 알키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지구 인구 100억 명의 시대가 과연 올까? 과연 온다면 어떤 세상이 될까? 지금도 끊임없이 늘어나는 인구로 인해 미래엔 대 재앙이 될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여기 저기서 흘러나오고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거 두가지만 꼽자면 식량문제와 물부족일 것이다. 한국이야 식량 자급자족이 어느 정도는 된다고는 하지만 그렇지 못한 나라들이 많다. 또한 기상이변등으로 인해 식량과 함께 물부족 국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건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 진행형의 이야기라고 한다. 이 두가지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도 크다고 하는데, 과연 세계인구가 100억 명이 된다면 어떠한 일들이 벌어질지에 대한 호기심이 이 책을 만나게 했다.저자는 이 책에서는 역사의 종말에 도달 했다는 주장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또한 느긋하게 앉아 있으면 모든 것이 다 잘될 것이라는 주장도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래도 상당히 흥미롭다.

과연 언제부터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현재에 이르렀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는데 1820년 세계 인구가 10억 명이 되었다고 한다. 10억 명이 되는 데는 무려 6만 4천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 후 60억 명이 되기 까지는 180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다시 10억 명이 늘어 70역명이 되기까지는 불과 11년 밖에 걸리지 않았는데 이때가 인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시기라고 한다.  하지만 100억이 되기까지는 80년이 걸릴거라고 한다.

인구가 늘어나면 우리는 무엇을 먹고 어디에 살것인지, 그리고 미래 자원의 핵심은 무엇일지, 지금도 양극화가 심한데 이러한 양극화는 어떻게 될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재앙, 한때 지구를 휩쓸었던 전염병보다 더 파괴력이 큰 전염병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을 비롯해서 풍부한 읽을거리로 만나는 100억 명.늘어나는 인구는 분명 좁은 지구에겐 좋은 일은 아니다.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한몫하는 나라들은 어느정도 삶의 안정권의 접어든 국가들이 아니라 지금도 그렇지만 저개발국가라는 점이  문제다.과연 지구의 미래는 어떻게 될것인가. 저자는 세상 사람들이 환경 친화적으로 살아가는 법을 배운다면 100억 명은 지금 70억 명이 지낼때 보다 더욱 조화롭게 지낼 수 있을 것이라고 하며 늘어나는 인구가 지구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알려주는 100억 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