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론 이펙트 - 정의로운 인간과 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0 그레이트 이펙트 8
사이먼 블랙번 지음, 윤희기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고전 이란 누구나 알지만 읽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라 전 세계에 해당 되는 이야기라고 한다. 그래도 언젠가는 읽어봐야지 하는 고전이 누구에게나 있을것이다. 나에게도 그 몇권이 있다. 그중 한권이 바로 [국가론]이다. 그러나 쉽게 손이가지 않는다.나중에 시간적 여유가 있으면 그때 보겠다고 했는데 벌써 꽤 오래 됐다. 그러다 최근 고전 읽기에 빠졌다면 빠졌다. 한달에 두 권 이상은 고전을 만나고 있으니 말이다.하지만 어렵다는 이유로 후순위에 있는 국가론을 반갑게도 '세종서적'출판사에서 어려워 하는 사람들이 조금은 쉽게 이해하면서 만날 수 있는 [국가론 이펙트]가 출시가 되어서 국가론을 만나기 전에 먼저 만나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철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철학자 사이번 블랙번이다. 철학자이면서 특별히 호감가는 철학자로 플라톤을 생각해 보지 않아서 플라톤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저자이기에 조금은 반가웠다. 그는 국가론을 무조건 찬양하지 않는다. 만약 세상을 변화 시키는 책이 있다면 가장 먼저 거론할 수 있는 책이라며 추켜세우긴 하지만 그는 회의론자이다. 자신의 기질이 비종교적이고 경험론적인 것이어서 천상에 있는 플라톤 주의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현실에 기반을 둔 공동체 의식에 더 가깝다는 저자.플라톤은 자유주의 지지자가 아니라 이성을 중히 여긴 사람이라고 한다. 국가론에서 그는 변화를 싫어하는 극단적인 보수주의를 표방하면서 동시에 지국이 무도하다 싶을 정도로 이상주의자로서의 면모도 보여준다고 한다. 플라톤의 정치체제에서 구도에서 가장 정점에 있는 것은 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스로와 다른 사람들을 통치하는 철인왕의 체제이고, 또한 그가 대표하는 성격이라고 하는데 그에 대한 이유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겠금 되어 있다.

 저자는 국가론이 독자들에게 당혹감을 안겨주는 이유로 작품이 너무 길고, 논의가 여러 갈레로 흩어져서 두서가 없어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부 해석가들은 이 작품을 논의의 일관성을 유지한 작품으로 보지 않는다고 읽기에 만만한 책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안다.그래서 안그래도 어려운 국가론을 머리 싸메가면서 만나지 않아도 되겠금 이 책을 집필했다고 한다. 이 책 전반을 통해 국가론이 그동안 독자의 상상력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지,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것인지와, 그토록 오랫동안 살아 남았고, 또 그렇게 특출했는지를 흥미로운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