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속도에서 깊이로 - 철학자가 스마트폰을 버리고 월든 숲으로 간 이유
윌리엄 파워스 지음, 임현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24시간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만나야 할 책.
디지털도구를 지금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다면 갈수록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할것이다.
디지털 세상에서의 삶이 갈수록 바빠지고, 여가시간이 네트워크에 구속되어 있어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한 오늘날 저자 '윌리엄 파워스'는 이 책을 통해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행복한 삶을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철학을 제시한다.
깊이 있는 삶은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하지만 그 가능성 조차도 일상 생활에 깊이가 없고
분주함 자체가 목적이 되면 사라지고 만다. 매순간이 꼭막힌 거리의 자동차 행렬처럼 여유가 없다면 온전한 자아를 경험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 우리의 삶이 그렇다.
저자는 보트를 타다 그만 휴대폰을 빠뜨리게 된다. 그 순간 그는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한다.
휴대전화로 인해 가능했던 네트워크가 더 이상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기쁨을 발견하면서 기적을 발견한다. 이 기적으로 인해 깊이있는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자신의 가장 뛰어난 면을 되찿을 수 있고, 주변 사람또한 되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 경험을 통해 정기적으로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아이디어를 찾아 이를 잘 활용하면 우리 삶이 더 풍요로워 질 수 있다고 생각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우리 삶이 더 행복해지고 풍요로워 질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과거의 7명의 철학자들을 통해 알려준다.
일곱명의 철학자 중 연필제조업으로 큰 성공을 거둔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문명의 삶을 포기하고 월든 숲으로 간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네트워크가 급속도로 확장 되고 있던 시대에 소로는 그 네트워크에서 빠져 나온다. 그는 그 탈출로 우리에게 교훈을 준다.
소로에게 집은 깊이 있는 삶을 위한 장소였다. 그는 집에서 지극한 행복을 느끼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으며 그것이 바로 월든이 우리에게 전하는 핵심이다. 저자는 소로의 실험을 우리 삶에 적용하여 우리만의 월든존을 만들 수 있도록 알려준다.
내적 삶을 충만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스크린에서 떨어져 있을 시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