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사고로 배우는 과학의 원리
야무챠 지음, 김은진 옮김, 곽영직 감수 / Gbrain(지브레인)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철학도 어렵고 과학도 어렵다. 그러나 이 둘의 만남으로 철학도 재미있고 과학도 재미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Gbrain에서 출간된[철학적 사고로 배우는 과학의 원리]라는 재미있는 책을 만났다.

저자 '야무챠'는 이 책의 목적은 '철학이 재미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알려주고 싶어서 책을 섰다고 한는데 저자의 말대로 책은 무척 재미있다. 저자는 철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라도 흥미를 갖고 읽으며 재미있다고 생각할 만한 화제들을 골라 이 책에 실었는데 책의 재미만큼이나 저자의 이력또한 무척 재미있다.

철학적 재미가 가득한 이 책의 저자는 철학 전공자가 아니다. 그저 평범한 셀러리맨이던 저자가 도서관에서의 놀라운 사건이 계기가 되어 직장을 그만두게 되었다고 하는데 그는 도서관에서
세상에는 선인들의 지식이 담겨있는 재미난 철학 책이 많다는 것을 보고서는 지금같이 바쁜 샐러리맨 생활을 하고 있다간 이 지식들을 구경조차 못하고 죽어가겠다는 생각에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 직장을 그만두게 되면서 철학의 세계에 빠져든다. 저자는 지금와서 후회는 하지만 그래도 철학의 세계란 재미나고 매력 넘친다고 한다.

철학은 무섭다?.
이유는, 그것이 미치도록 재미나기 때문이다.
철학의 중독적인 재미를 전하는 이 책은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데, 철학이 어렵다고 느끼게 만드는 난해한 철학 용어들은 등장하지 않기때문이다. 또한 듣기만해도 머리가 아픈 상대성이론, 카오스이론등등을 난해한 식을 사용하지 않고 초간단 과학이론 해설들을 재미있게 설명함으로 과학의 원리들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준다.

'과학이란 놈은 도대체 무엇일까?'
베이컨이전의 과학은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편견으로 가득차 있었다. 권위적인 학자들이 근거도 없이 말한 것이나 옛날부터 이야기되는 것을 마치 진리인양 여기는 풍조가 강했는데 베이컨은 귀납법을 이용해 과학은 관측이나 실험드으이 사실을 토대로 해서 만들어 져야 한다고 주장,
하면서 과학이 발전되고 그후 여러가지를 거치면서 현대의 과학으로 발전.

과학이론이란, '시끄럽고! 어쨌든 이것은 반드시 옳다!'라는 인간의 결단과 그러한 신념에 의해서만 성립된다.

저자가 알려주는 세상으로부터 비난받고 있는 다해석문제 (패러렐월드)를 비롯한 여러가지 과학이론들을 만나면 가장 재미있게 본 영화인 백투더 퓨처2가 떠오르기도 하는 이 책은 그동안 만나보지 못했던 철학의 재미를 알게 해주는 반가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