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이후의 삶 - 지속가능한 삶과 환경을 위한 '대안적 소비'에 관하여
케이트 소퍼 지음, 안종희 옮김 / 한문화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상이변으로 세계 곳곳이 재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오래전부터 기상이변으로 인해 많은 피해가 일어날 것이라며 경고를 하는 학자들이 있었지만 아주 먼 미래에나 일어날 일이라며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최근 일어나는 기상이변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수있다. 이로 인해 그동안 별 관심이 없던 나를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번에 만난 [성장 이후의 삶] 역시 이 문제를 이야기 있다. 지구 인구의 5분의 1 이하가 지구 자원의 약 5분의 4를 소비하고 있다 이런 과도한 소비는 수많은 사람들과 미래 세대의 기본적인 생존조건을 점점 약화시키고 있는 문제가 있지만 서구의 풍요로운 생활방식이 모든 사회가 선망해야 하는 모델로 계속 인정받고 있다고 한다. 기업들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 우리에게 더 많은 소비를 하겠금 하고, 미래 구매자인 아이들에게 소비생활을 하도록 길들이며 소비주의적 사회를 만들었다.

우리의 건강과 행복이 쇼핑을 얼마나 하느냐에 달렸다는 생각을 갖게 한 소비주의적 생활방식은 크나큰 문제를 가지고 있다. 소비주의적 사회는 우리가 과도하게 오랜 시간 열심히 일해서 번돈으

로 상품과 상품화된 경험을 구매하려는 태도에 의존하는데 이로 인해 생활 방식이 점차 과도한 노농, 건강 악화, 우울증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한다. 그와 함께 최근 이런 생활방식이 탄소 배출가스, 대기오염, 플라스틱과 관련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환경론자들이 나서며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저자는 그들과 다르다. 삶을 희생하고 쾌락을 포기하는 방향으로 소비 형태를 바꿀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 반대한다면서 소비 문화가 인간 행복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을 깨는 대안적 쾌락주의를 이야기 한다. 지구온난화와 다른 환경 재난의 변곡점을 피하기 위해 보다 인간적이고 매력적이며 더 실행가능한 접근법인 대안적 쾌락주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저자가 주장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소비자로서의 개인의 역활은 무엇인지를 만나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