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러므로 나는 의심한다 - 세계적인 신경과학자 보 로토의 ‘다르게 보기’의 과학
보 로토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19년 12월
평점 :
언제부터인지 제대로 보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채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만해도 밖에서 많은 것을 본것 같은데, 하루를
마무리 하는 지금 시간 방에 앉아서 차분히 생각해보니 과연 오늘 하루 무엇을 봤는지 절반이상이 생각이 나질 않습니다. 절반 이상이라고 할수도
없을거 같습니다. 3분의 1도 생각이 나질 않습니다. 과연 나는 제대로 보고 있는 것인지. 사람들은 눈을 통해 정확하게 본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보고 난 후에 시간이 지난 후 생각해보면 기억이 안나서 봤는지 안봤는지에 대해 모르긴 하지만, 보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며 무언가를 볼
때에는 100% 정확하게 본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놀랍게도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세계적인 신경과학자인 보 로트는 눈을 떳을 때, 우리 눈에 보이는 세상의 모습은 실제 모습 그대로일까? 우리는 과연 실제를 볼까? 라고
묻습니다. 이에 대한 답을 위대한 사상가들이 내놓았지만 그들과 전혀 다른 답을 신경과학으로 알려준다는 저자는 우리가 실재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눈에 들어온 책 [그러므로 나는 의심한다]. 다른 결과물을 얻어내기 위해서라도 다르게 보기가 필요한 시대를 살고 있고
또 살아가야 하기에 지금과는 전혀 다른 시각으로 제대로 보고, 또 다르게 보기에 필요한 스킬을 만날 수 있을까해서 만난 책입니다.
우리는 눈을 통해 보는 것으로는 실제를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는 것은 일부의 문제가 아니라 대부분의 문제라고 합니다. 우리는 실제를 재대로
못보도록 진화해 왔다고 합니다. 우리가 눈을 통해 보는 것 중 뇌가 사용하는 정보는 겨우 10%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나머지 90%는 뇌의
다른 곳들에서 와서 우리가 실제로 보지 못하게 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은 그렇게 진화해 왔고, 거기에 더해 지금까지 이어진 내 지각의 역사가 낳은 결과물 입니다. 지금까지와 같은
지각에서 벗어나 다르게 보기가 필요한 시대. 과연 다르게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자는 25년간의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이 책을
통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각이 아닌 변화할 자유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자각을 제공함으로써 혁신의 시대에 어울리는 사람이 되도록, 우리의 생각을
혁신시킬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