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웨이 아웃
스티븐 암스테르담 지음, 조경실 옮김 / 바다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100세 시대.  건강하게 100세를 살다가 아프지 않고 잠자다 죽고픈 마음은 매한가지 일것입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사람이 몇이나 될까. 주변의 많은 사람이 갖가지 질병으로 오랜 병으로 병마와 힘겹게 싸우다 죽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 것을 볼때마다 나의 죽음은 저러지 말고 나자신과 그리고 가족에게 걱정을 끼치지 말아야 한텐데라는 생각을 가끔씩 하곤 합니다. 그런 생각을 할때마다 일부나라에서 허용하고 있는 안락사가 국내에도 허용된다면 좋지않을까 생각해보곤 했는데, 국내에서 얼마전부터  안락사가 아닌 치료할 수 없는 환자에게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해서 고통을 주는 것을 중단하고 존엄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존엄사를 허용해 시행하고 있긴 하죠. 국내도 안락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긴 하다고 하는데,  병마와 고통스럽게 싸우지만 치료할 수 없는 병이라면 그 고통은 상상이상일 것입니다. 이럴때에는 안락사를 허용한다면 전 무조건 찬성입니다.




이번에 만난 소설 [이제 웨이 아웃]은 바로 이 안락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소설의 주인공은 말기 환자들을 대상, 약물로 몇 분 안에 환자가 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락사 어시스턴트입니다. 안락사를 결정하고 약물을 먹고 죽음에 이르게 되지만, 약물을 먹은 후에는 혹시라도 마음이 바뀌게 된다고 해도 환자를 소생 시키기 위한 어떠한 조치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는 처음부터 안락사 어시스턴트를 하려고 했던 것은 아닙니다.  예기치 못한 직원의 퇴사로 인해 결원이 발생, 임상 간호사였던 그는 지원을 하게 됩니다.  교육도 제대로 받지 않은채로 투입. 그러다 보니 일처리를 메뉴얼대로 진행하지 못하면서 문제가 발생됩니다. 일을 하면서 환자와 가족에게 하지 말아야 할 감정이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가 하는 일은 모두 녹화가 되고 수행능력 평가를 받습니다. 환자와 가족들이 준비됐든 안됐든 상관없이 약물을 건네주기만 하라는 상사는 그의 실수를 덮어주긴하지만 일을 하면서 그는 자꾸만 감정이입을 하게 됩니다. 일은 결국 스트레스가 되고 힘들어하던 그는 결국 불법적인 어시스턴트가 되어 많은 죽음을 돕게 됩니다. 그러던 중 파킨슨병에 걸린 어머니는 자신의 상태를 잘알기 때문에 안락사를 원하면서 환자의 죽음을 돕던 그는 혼란을 겪습니다. 그는 고통을 겪고 있는 자신의 어머니를 안락사에 이르게 할것인지, 아니면 다른 상황을 택할 것인지를 보여주며 안락사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는 소설 [이지 웨이 아웃]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