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가지 사건으로 보는 금의 역사 - 왜 사람은 금을 탐하나?
루안총샤오 지음, 정영선 옮김 / 평단(평단문화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기가 안좋아지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뉴스가 있습니다. 바로 금의 대한 뉴스입니다. 경기 하락시에는 주식대신 금을 사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인데, 최근에도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인지 금값이 상승하고 있다는 소식이 연일 들려오고 있습니다. 얼마나 상승했는지 알아보니 1년 사이에 40%가까이나 상승했다니,올 초에 금을 사뒀다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이 상승도 최근 몇 달 들어 가파르게 상승을 했습니다.  도대체 금이란 무엇이기에 오랜시간 사랑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호기심이 [39가지 사건으로 보는 금의 역사] 를 만나게 했습니다. 이 책은 발견되자마자 인류의 오랜 역사와 함께 한 금의 역사를,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39가지의 흥미로운 사건으로 만날 수 있는 책입니다.



황금의 존재는 누군가에게는 기쁨이였지만, 누군가에게는 악몽이였습니다.   희귀하고 견고하며 아름다움으로 인간을 매혹한 황금은 지역이나 민족은 다르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권위를 상징했습니다. 각각의 지역에서 끝임없이 생산이 되는 것이 아니였기에 다른 지역의 황금을 넘보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황금을 손에 넣기 위한 잔혹한 전쟁이 끊임없이 이어졌습니다. 전쟁에서 패하면 황금을 빼앗기는 것으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패전국은 금을 캐는 노예가 되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강대국이였던 고대 이집트는 막대한 황금을 얻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고, 또 채굴을 위한 노동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도 전쟁을 일삼았습니다. 고대 이집트 뿐 아니라 황금과 약탈로 세워진 나라는 아이러니하게도 반드시 약탈을 당했다는 것을 역사를 통해 만날 수 있습니다.  장신구에 이용하던 금, 보관도 쉽고, 파손되지 않고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에, 화폐의 기능을 담당하기에 탁월한 매개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화폐로 이용됩니다.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가 최초로 금화를 만들고 이 금화는 현재의 달러처럼 각국의 비축통화가 되었다고 합니다. 다리우스 1세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금본위 화폐제도를 수립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황금을 쌓아 만든 거대한 제국 고대 로마, 뒤늦은 황금 숭배의 나라 중국, 황금지대 위에 건설한 황금제죽 비잔티 제국, 신대륙을 향한 골드러시, 그후 물가가 13배 이상 증가해 유럽인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은 황금으로 인한 16세기에 지속된 인플레이션. 그후 또다시 일어난 골드러시, 그리고 금본위제하의 황금을 둘러싼 각축전, 금본위제 파괴 후 금의 위상 하락. 그러나 하락 했던 금의 위상은 다시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금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들을 통해 금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확실하게 풀어주는 [39가지 사건으로 보는 금의 역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