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3000년 전 사람들의 일상으로 보는 진짜 이집트 문명 이야기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도널드 P. 라이언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재미있는 역사 관련 책[이집트에서 24시간 살아보기]를 만났습니다. 이 책은 전 세계 10개 국어로 번역된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시리즈의 국내 출간 첫번째 책입니다. 한때 고대 문명에 대한 호기심이 생겨 좀 더 깊이 알아보고자 한적이 있었지만 고대 문명에 대한 호기심은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 다른 문명의 대한 관심도보다는 고대 그리스 문명을 알아보는데 치중됐던 적이 있었습니다.

 

고대 이집트 문명하면 떠오르는 것은 수천년을 유지해온 문명이라는 거, 그리고 람세스, 파라오,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피라미드, 역시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스핑크스 정도가 떠오르는 정도입니다.

 

이번에 만난 이 책은 고대 이집트 문명의 정점이였으며, 인류 역사를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시대인 신왕국 시대 기원전 1550 ~ 1069년 중 기원전 1414년경, 수도였던 테베를 배경으로 24시간을 보내면서 다양한 고대 이집트인을 등장시켜 그들을 통해 고대 이집트 문명의 역사와 문화를 만나볼 수 있는 책입니다. 신왕국 시대가 있었다는 것을 못들어본듯한데 이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 고대 이집트 문화를 제대로 들여다 볼 수 있는 시대라고 합니다.

 

가장 처음 만나게 될 인물은 어릴적 부터 다양한 도둑질을 해온 겁없는 네므웨프와, 좀도둑인 겁쟁이 베비가 등장합니다. 이들은 여왕의 무덤을 터는 대담한 짓을 벌이고 있는 중입니다. 당시의 왕족의 무덤을 도굴한 자들은 산채로 불에 태워 죽이거나 더 무자비한 방법으로 처벌 되고, 또 죽은 후 내세에서의 심판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잘 아는 베비는 괜히 도굴에 끼어든 것이 아닌지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지만, 그와는 다르게 네므웨프는 신을 믿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를 통해 당시의 높은 세금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좀 있다 등장하는 미이라를 만드는 장의사를 통해 여왕의 무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역시 알게 됩니다. 미이라를 만들 때 꽤 긴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미이라를 만들 때 심장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기관을 제거 후 만든 다는 것, 그리고 꺼낸 내장은 버리는 것이 아니라 병들에 담아 미라의 관에 함께 넣어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금 세공사도 등장합니다. 그를 통해서는 태양처럼 밝게 빛나며 부와 지위의 상징이였던 금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도굴꾼들이 왜 목숨을 걸고 도굴을 하는지 역시 알 수 있습니다.

 

평균수명 30 ~ 35세까지 살았다고 하는데, 당시 사람들의 집에는 빵과 맥주가 늘 있어야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막의 불어오는 모래바람으로 인해 그들이 만든 빵에는 모래가 함유돼 있었는데 이 모래로 인해 당시 사람들의 치아가 좋지 못했다고 합니다. 지금도 비싸서 자주 먹지 못하는 소고기와 포도주는 부유층만이 먹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외 포로 끌려와 벽동공으로 일하는 시리아인들과,  백성들의 높은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는 부담감에 잠 못 이루고 있는 파라오, 노병, 사제, 농부 등 24명을 통해 흥미롭고, 재미있게 만나는 고대 그리스 문명 [이집트에서 24시간 살아보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