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조금 딱딱하고 페이지가 쉽게 넘어가지 않을까 생각한 [언어의 줄다리기]를 만났습니다. 이 책을 만나게 된 이유는 우리가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단어들 중 대통령이라는 단어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단어라고 하는데 약간의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다른 단어들보다 대통령이라는 단어는 오히려 민주주의를 국가를 내포하고 있지 않았나 생각했는데 민주주의와 거리가 먼 제왕적이고 권위주의적이라니.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조금 딱딱하더라도 호기심을 풀어보자고 손에 들었는데 예상했던거 보다 딱딱하지 않고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좋았던 책입니다.

 

다른 단어들의 줄다리기들 보다 호기심을 끌게 했던 대통령에 대해 꽤 많은 분량을 할해 했습니다. 대통령 각하와 대통령님의 줄다리기는 첫 번째 경기장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대통령각하라는 말을 예전에는 꽤 많이 들었던거 같은데 어느순간 들리지 않았는데 그 이유들에 대해 꽤 흥미롭게 설명합니다.  박정희대통령때부터 대통령에게만 이 경칭을 쓰도록 하는 규정까지 만들었다고 합니다. 권위주의 적인 단어인 각하라는 말이 20세기 중 후반에 생긴 것인줄 알았는데 놀랍게도 이 단어는 '폐하' '전하' '저하' '합하'등과 함께 조선시대부터 사용 되었다고 합니다. 각하라는 단어는 전하급 이상이겠지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다것개의 경칭 중에서 가장 낮다고 합니다. 지금으로 치면 장관급 판서들에게 사용되는 경칭인 각하. 신분제를 전제하는 이 단어는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부인하는 반민주공화국적 표현이라고 합니다.

 

 이 단어에 대해서는 알겠는데, 국민의 대표자를 '대통령'으로 부르는 것은 민주주의 정신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니 무슨 말인가 궁금했습니다. 이 단어 역시 실록에 등장했다고 합니다.  President 를 일본이 번역한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처음엔  입에도 안붙는 백리새천덕과  대통령으로 번역되기도 했는데 둘의 경쟁. 결국은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정착된 단어라는 군요.  관심이 없어서 몰랐는데 그간 여러차례 대통령이라는 단어가 갖는 비민주적이고 권위주의적인 문제가 지적되었다고 합니다.

 

열 번째 경기장까지 보면 그동안 아무렇지 않게 사용했던 단어들이 수두룩 합니다. 청년이라는 단어도 그렇고, 결혼에 대한 관습적인 세계관이 담겨 있는 미혼과 비혼,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미망인. 과거의 이데올로기와 고정관념을 담고 있는 단어들. 물론 그중에는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도 있습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수용하는 구시대의 이데올로기의 단어들이 벌이는 줄다리기 경기를 관전하는 즐거움이 쏠쏠한 [언어의 줄다리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